LS-L&F배터리솔루션 새만금 공장 준공…이차전지 소재 산업 글로벌 거점 '우뚝'
새만금에 대규모 전구체 공장이 들어서는 등 이차전지 소재 산업 거점으로 우뚝 설 전망이다. LS-L&F배터리솔루션㈜이 30일 새만금국가산단 5공구에서 이차전지 양극재용 전구체 생산 공장(1단계) 준공식을 개최했다. LS-L&F배터리솔루션㈜은 비철금속 및 전력산업 분야 최고 경쟁력을 가진 LS그룹과 이차전지 양극 소재 기술을 선도하는 ㈜L&F가 공동으로 출자해 설립한 기업이다. 이날 준공식에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와 강임준 군산시장,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문승우 도의회 의장 등을 비롯해 구자은 LS그룹, 정경수 LS-L&F배터리솔루션㈜ 대표이사, 허제홍 L&F 의장, 구동휘 LSMnM 대표, 문명주 LSMetal 대표 등 LS 계열사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에 앞선 지난 2023년 8월, LS그룹은 전북자치도와 새만금개발청·군산시 등과 ‘이차전지 소재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기업은 향후 새만금국가산단에 2단계에 걸쳐 총 1조 493억 원 규모의 투자와 750여 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할 예정이다. 전구체는 양극재 제조를 위한 핵심 중간소재로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을 결정짓는 요소지만, 그동안 국내 수급은 중국 등 해외 수입에 크게 의존해 공급망 불안정과 가격 변동 리스크에 노출돼 있었다. 이번 새만금 공장 완공은 전구체의 대규모 국내 생산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우리나라 배터리 산업의 공급망 안정화와 경제안보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순수 국내 자본과 기술로 중국 자본을 전면 배제한 'K-Battery Alliance' 구축이라는 점에서 국내 배터리 소재 자립화의 선도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새만금 공장의 경우 올해 시험 생산(약 500톤)을 거쳐 내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한다. 2026년 2만톤을 시작으로 2027년 4만톤, 2029년부터는 최대 12만톤을 생산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현재 새만금은 이차전지 관련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으며, LS 새만금 공장에서 생산하는 전구체 생산 규모가 국내 점유율 10%~20% 목표로 확대되면, 전구체 수입의 중국의존도(현재 약 80%)를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이번 공장 준공은 LS와 L&F가 협력해 전구체 국산화를 이뤄낸 매우 의미 있는 순간"이라며 "새만금을 친환경·고성능 이차전지 소재 산업의 글로벌 거점으로 도약시킬 수 있도록 전북특별자치도가 기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LS-L&F배터리솔루션㈜의 첫 시작을 군산시와 함께 해주신데 깊이 감사드린다”며 “기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힘차게 도약할 수 있도록 필요한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