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문화유산과 현대 인프라 조화, 익산 마이스 관광 가능성 충분”
백제역사유적지구와 세계문화유산, 로컬푸드 케이터링 서비스, 인근 전주·군산과의 연계 패키지, 새만금 개발에 따른 시너지 효과, 유니크베뉴 발굴, 스마트MICE 기술 도입 등등. (사)한국마이스관광학회를 비롯한 MICE관광 관련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로컬MICE시티로서 익산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했다. 지난 19일 고도 한눈애(愛) 익산 세계유산센터에서 열린 ‘익산 MICE관광 육성전략 포럼’에서 ‘로컬 마이스시티 익산으로서의 가능성’이라는 주제를 발표한 한진영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는 익산의 MICE산업 잠재력으로 문화유산 활용과 지역 특산물 연계, 인근 도시와의 협력, 마이스 인프라 확충을 꼽았다. 또 소규모 회의 수요 증가와 기업 인센티브 여행, 지방 소멸 위기 대응, 역사문화 관광 연계 등을 익산 MICE산업 발전의 기회 요인으로 제시했다. 대규모 인원을 수용할 컨벤션시설이나 숙박시설은 현재 부족하지만 KTX익산역과 사통팔달 도로망 등 접근성이 우수한데다, 백제역사문화를 비롯해 지역이 강점을 갖고 있는 농업·식품 분야나 의료·웰니스산업, 산업단지 연계 비즈니스 등 특화된 MICE산업을 육성하면 경쟁력을 충분히 갖출 수 있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그러면서 대규모 국제회의 시설 취약과 전문 인력 부족, 서비스 인프라 미비, 브랜드 인지도 저조 등을 약점으로 꼽고, 지속적인 혁신과 지역 특생을 살린 콘텐츠 개발이 로컬 마이스시티로서 성공하기 위한 열쇠라는 점을 강조했다. 익산 MICE산업 발전 전략으로는 전문 인력 양성과 역사문화 테마 컨퍼런스 등 특화 행사 개발, 다목적 컨벤션센터 등 인프라 확충, 온라인 마케팅 강화, MICE 유치 지원금 등 효과적인 지원 정책 수립·추진 등을 제시했다. 특히 익산 차별화 전략으로는 백제왕궁 등을 활용한 역사문화 콘텐츠 융합, 농생명산업 연계 프로그램 개발, 스마트 기술 활용, 보석·금마 한옥·특산물·지역 축제 등을 활용한 특화 체험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언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백제왕궁(왕궁리유적)을 활용한 글로벌 왕궁 유적지 MICE, 세계 석탑 교류회, 보석을 활용한 세계 희귀보석 전시회, 인근 도시와 관광MICE 벨트 구축 및 이니셔티브(주도권) 확보, 공조직 및 지역사회 공감대 형성, 지역 MICE 얼라이언스 운영, 관광객 수 넘어 관광객 1인 지출에 집중하는 정책 수립·추진, 무주 태권도원·순창 쉴랜드·고창 상하농원·전주 한옥마을 같은 지역 맞춤형 유니크베뉴 개발 등의 방안이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