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전북 최대 규모의 도축장이 재가동 움직임을 보이자 인근 주민들이 극심한 악취와 침출수 등 환경 문제를 우려하며 결사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나섰다. (2023년 10월 30일자·11월 6일자 8면 보도)
과거 익산 현영동에서 가동되다가 파산된 도축장(옛 ㈜축림)이 다시 가동을 시작하면 당시의 극심한 피해와 고통이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18일 익산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옛 ㈜축림의 부지와 건물을 낙찰 받은 전남 소재 육가공업체는 최근 재가동을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폐수처리시설 증설 및 등록 변경 등 관련 행정 절차를 진행 중이며, 다수 민원이 예상되는 사업은 주민들에게 사전 설명이 필요하다는 시의 안내에 따라 지난달 신동 8개 마을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가졌다.
또 신동 8개 마을 대표자들은 해당 업체의 전남 장흥 소재 사업장을 견학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대 주민들은 여전히 걱정과 불안을 감추지 못하며 전전긍긍하고 있는 모양새다.
실제 계문향우회는 설 연휴 직후에 옛 축림 부지 인근에 ‘청정주거지역에 도축장이 웬 말이냐!’는 현수막을 내걸고 결사반대 입장을 밝혔다.
인근 다가포마을과 원모인마을, 전원주택 단지인 서아마을 주민들도 우려를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과거 이 같은 주민들의 의문과 우려는 과거 ㈜축림이 악취와 침출수 등으로 인근 생활권에 심각한 피해를 안겼을 뿐만 아니라 행정처분을 다수 받은 바 있고, 2020년 파산 이후 기존 마을 외에 새로운 주거단지가 들어서고 식당과 카페, 골프연습장 등 일대에 상권이 형성돼 있어 반발이 거셀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가칭 계문지킴이 관계자는 “이미 일대 주민들은 과거 축림을 통해 충분히 경험을 했다. 말로는 관련 시설을 갖추고 철저히 관리해 환경오염 피해를 주지 않겠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주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안게 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축림 파산 이후 청정지역으로 거듭나고 있는 일대에 다시 도축장 가동은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인근 서아마을 한 주민은 “벌써부터 익산시가 허가를 내줬다는 소문까지 나도는 등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면서 “주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피력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