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입어도 되는데?’ 익산 중·고등 교복 지원 ‘혈세 낭비’ 지적
지역 내 중·고등학생 대상 교복 구입비 지원이 혈세 낭비 지적을 낳고 있다. 학교 주관 공동구매 방식으로 지원이 이뤄지는데 새 학기가 한참 지난 후에 지급되거나, 지급된 후에 학생들이 사복을 입고 등교해도 아무런 제재가 없는 등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고 있어서다.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지역 내 교복 착용 중·고등학교 신입생 및 전(편)입생을 대상으로 1인당 30만 원 상당의 교복 구입비를 지원하고 있다. 각 학교가 입찰을 통해 교복 공급 업체를 선정하면, 학생들이 해당 업체에 신청해 지급받는 공동구매 방식이다. 문제는 교복 지급 시기가 3월 입학 전후부터 여름 하복 시기까지 학교별로 천차만별이라는 점이다. 통상 1월 졸업 시즌에 교복을 신청하는데 이후 별도의 안내가 이뤄지지 않아 학부모들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다반사다. 학교 차원의 정확한 안내가 없어 개별적으로 교복 업체에 문의를 해야만 교복 지급 시기를 알 수 있는 상황인데다, 입학 전 교복이 지급되지 않아 결국 학생들이 사복을 입고 등교하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교복이 지급된 이후에 사복을 입고 등교해도 아무런 제재가 없다는 점은 더 큰 문제다. 실제 익산지역 일부 몇몇 학교는 시기별 교복 착용을 안내하며 위반 시 벌점을 주는 등 나름의 관리를 하고 있지만, 나머지 다수의 중·고등학교는 교복 미착용에 대해 별다른 제재를 하지 않고 있다. 실질적인 교육 기회 균등 실현과 학부모 부담 경감을 위해 지원되는 교복 구입비가 허투루 사용되고 시민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익산에서 올해 중·고등학교에 입학하는 자녀를 키우고 있는 학부모 A씨(44·여)는 “고등학교 교복 업체에서는 다행히 입학 전에 지급이 이뤄진다는 연락을 받았는데, 중학교는 아무 연락이 없어 업체에 문의한 결과 3월 중순 이후에나 받을 수 있다는 답을 들었다”면서 “학교에서 주관해 구매하는 것인데, 입학하고 한참 후에 교복을 받을 수 있다는 게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다른 학부모 B씨(45·여)는 “중학생 아들이 지난해 입학 후 교복을 전혀 입지 않아 방치된 지 오래인데, 학교에서 아무 제재도 없고 친구들도 다 안 입는다며 교복을 입지 않는다. 다른 여러 학교 엄마들과 얘기해 봐도 상황은 마찬가지”라며 “이럴 거면 아까운 세금으로 교복 구입비를 왜 지원하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익산지역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학부모들은 ‘교복을 맞춘 지가 하도 오래돼 연락을 취해 보니 3월 10일 이후에 나온다고 하네요. 안내 문자나 연락도 없었는데. 원래 입학 전 교복이 나오는 거 아닌가요?’, ‘저희 아이도 전혀 그런 안내 못 받았어요. 곧 연락 오겠지 했는데 첫날 사복이군요’, ‘그래도 빨리 나오네요. C중학교 5월 이후에 나와요’, ‘입학하고 당분간은 사복 입는다고 들었는데 맞는 건지요’, ‘신입생이 교복 안 입었다고 선생님에게 혼나지는 않을까 걱정됩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해 익산교육지원청 관계자는 “각 학교마다 상황이 다른 것 같다”면서 “현황을 살펴보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