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증가에 군산의 미래 달려있다”···군산시 다양한 인구정책 해택 내놔
군산시가 인구감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정책 마련을 위해 인구 증가를 위한 다양한 해택을 마련하는 등 인구 정책 재정비에 나섰다. 13일 시는 실질적인 인구 정책 사업 발굴을 위해 기존 T/F팀을 실무진 중심으로 대폭 개편하고, 인구에 대한 인식개선 사업 등 효과가 미비한 사업은 원점에서 재검토한다고 밝혔다. 특히 실수요자로 볼 수 있는 맘카페 회원을 오는 4월부터 시민참여단으로 구성해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을 발굴·추진할 방침이다. 시는 이번 개편을 통해 △결혼‧임신‧출산 △양육‧보육 △교육 분야 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한다. 아울러 △정주여건 △일자리 △노인복지 분야는 중․장기 과제로 분리해 단계별 사업 추진으로 결혼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먼저 결혼‧임신‧출산 분야 해택으로는 임신출산 진료비 지급(임신 1회당 100만 원, 다태아 140만 원), 출산 지원금 지급(셋째 이상은 육아용품 구입비 25만 원 추가 지급), 첫 만남이용권 지급(출생아당 200만 원, 쌍둥이 400만 원, 세쌍둥이 600만 원), 산후조리비용 지원(기초생활수급권자 산모 100만 원, 그 외 산모 50만 원), 산후 보약 한방쿠폰 지원(20만 원)을 지원한다. 양육‧보육 해택 중 아이가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0~11개월 아동은 현금 70만 원, 12~23개월은 현금 35만 원을 각각 지급한다. 아이가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 0~11개월 아동은 보육료 바우처 약 51만원을 어린이집에, 약 18만원은 부모에게 12~23개월 아동은 보육료 바우처 약 51만 원을 어린이집에 지원한다. 또한 만 8세 미만의 아동을 둔 가정에는 매월 25일 1인당 10만 원을 계좌로 지급한다. 다만 현재까지 확정되지 않은 교육 분야 관련 사업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사교육비 걱정 없이 수준 높은 교육 지원 방안 마련 등을 발굴할 예정이다. 강임준 시장은 “근본적인 대책 없이 일회적이고 일시적인 정책으로는 인구감소에 대비할 수 없다”며 “인구 증가 정책에 군산의 미래가 달려있다는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인구감소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