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5 04:57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지역일반

"부족한 후원금에 소리없이 눈물만..." 김순애씨

“어려운 이웃들이 밝게 웃을 수 있는 따뜻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올해도 열심히 봉사하겠습니다.”올해로 창립 9주년을 맞는 전주덕진 사랑의 울타리 자원봉사단(회장 김순애)이 9일 전주시 진북동사무소에서 정기총회를 열고 올 한해 이웃사랑과 봉사의 의지를 다졌다.홀로노인 생일상 차리기, 사회복지시설 방문봉사에서 화재현장 뒷정리까지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 마다하지 않았던 봉사단은 창립당시 150명이던 회원이 어느덧 500여명을 훌쩍 넘어섰다.창립 이듬해인 지난 1999년 첫 발을 디딘 뒤 지난 2005년부터 봉사단을 이끌어온 김순애 회장(54)은 “어려운 이웃의 손과 발이 돼 줄 수 있는 기쁨을 누릴 수 있어 봉사의 시간이 너무 행복하다”며 “나보다 남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한데 뭉쳐 자원 봉사활동에 적극 참여해 준 회원들이 있어 지난해는 더욱 따뜻했다”고 지난 한해를 돌아봤다.올해도 어려운 이웃을 위해 다양한 봉사의 계획을 세우고 있는 김 회장의 새해 소망은 이웃사랑이 담긴 많은 후원금을 이끌어 내는 것.지난해 홀로노인들을 위해 밑반찬 나누기 사업을 진행했지만 예산부족으로 10월까지 밖에 사업을 진행하지 못했고 밑반찬을 배달받던 노인들이 ‘왜 반찬을 갖다 주지 않느냐’며 전화해 올 때 소리 없이 눈물 흘렸던 기억이 아직도 가슴을 아프게 한다고 말했다.보다 많은 이웃을 돕기 위해 많은 예산이 필요하지만 매년 봄 개최하는 바자회와 적은 후원금으로는 이웃사랑을 전개하기에 너무나도 부족한 실정이다. “적은 금액이지만 많은 이웃들의 참여가 있다면 더욱 많은 어려운 이웃들이 밝게 웃을 수 있을 텐데요.” 김 회장은 올해 어려운 이웃들의 필요에 맞춰 재가복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봉사조직을 개편할 계획이다.또 날로 늘어가는 소외된 노인들을 위한 봉사분야 개발과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봉사활동도 지속적으로 펼칠 계획이다.

  • 지역일반
  • 임상훈
  • 2007.01.10 23:02

[이치백의 一日五話] 1960년 런던 세계 첫 지하철 개통

◎ 1월 10일①신라 멸망신라가 935년 오늘, 고려에 의해 멸망했다. 신라 56대 경순왕은 이날 고려 태조 왕건에게 정식으로 항복하고 그의 부하가 될 것을 맹서하는 예식을 치르자, 천년 신라의 역사는 막을 내렸다. 신라는 기원전 57년 박혁거세에 의해 건국된 이래 한때는 백제, 고구려 등 3국을 통일한 강대국이었다.②국제연합 발족국제연맹은 당초 “비참한 전쟁을 또다시 되풀이 할 수 없다”는 이념으로 1920년 발족을 보았다. 미국 윌슨 대통령의 제안에 의해 출발한 이에 처음에는 42개국이 가맹했다. 그러나 1차대전의 교훈은 살리지 못하고, 일본·독일·이탈리아 등이 탈퇴, 2차대전에 치달았다.③첫 지하철 개통세계 최초의 지하철 개통은 1860년의 오늘이었다. 챨스 피어슨의 제안에 의해 런던에서 기관차로 전장 6㎞를 달리던 이 지하철의 첫 1년간의 승객 수는 950만 명이나 됐다. 처음에는 승객들이 기관차에서 내뿜는 연기로 곤혹을 치렀다. 지하철이 전철화 된 것은 30년 후였다.④마이크로폰 발명“나의 발명은 결국 타인에게 의해 발전시킬 수밖에 없다”는 말을 남긴 채, 라이스는 40세로 세상을 떠났다. 1861년의 오늘이었다. 독일에서 발표된 이 기계는 훗날 마이크로폰으로 발전했다. ‘전기의 귀에 의해 현대는 지배되고 있다’는 말을 남겼다.⑤경찰 직명 전면 개정1945년 광복 후에 새로 발족된 우리 국립경찰은 일제의 잔재인 직명부터 바꿨다. 새로 제정된 직명은 순경, 경사, 경위, 경감, 총경, 경무관 등이다. 견장과 단추도 과거 일제 때의 별 대신 무궁화로 하고, 흉장을 달아 경찰관임을 표시했다. 그 후 다시 경장, 경정 등이 생겼다.

  • 지역일반
  • 전북일보
  • 2007.01.10 23:02

[딱따구리] 무주리조트 이래선 안된다

“주차공간이 부족해 어디다 주차해야 좋을지 이리저리 해매다 아까운 시간 다 보내고 왔다. 손님받을 자세가 안 되었다”“기업도시 투자한다고 설치지 말고 기존의 무주리조트부터 먼저 리모델링하라” ‘폭설 무방비 서비스도 뒷전’제하의 본보 기사(8일자)가 나간 뒤 본보 인터넷에 오른 네티즌들의 비아냥 어린 댓글이다.한 겨울 호황을 누리고 있는 무주리조트가 고객들의 불만의 목소리를 귀담아 들을 자세가 되어 있는지 묻고 싶다. 기업의 목표가 이익창출이라지만 고객의 불만을 외면하는 기업은 생존할 수 없다. 그 만큼 고객은 기업의 생명과도 같다.그럼에도 무주리조트는 3년 전부터 현재까지 워터트리 AMC사가 운영하면서 시설이나 서비스에 대해 투자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적자폭을 줄이고 흑자로 전환시키기 위해 나름대로의 고충이 없을 수 없을 것이다. 또한 회사가 이익을 내기 위해 어떤 투자를 어떻게 하든지 전적으로 기업의 몫이다. 투자를 하지 않아 시설이 낡고 서비스가 좋지 않으면 가지 않으면 그만 아니냐고 항변할 수 있다. 문제는 리조트가 전북의 대표적 관광자원이라는 점에 있다. 천혜의 자원을 깎아서 리조트를 짓도록 한 것이 개인 기업의 배를 불려주기 위한 일은 아니다. 리조트에 다녀간 서울의 한 이용객이 형편 없는 숙박시설과 일부직원의 서비스에 대해 불만을 토해내며 “다시는 무주에 가고싶지 않다”고 불만을 쏟아냈다. 이런 사람이 많아지면 리조트 자체적으로 손해지만, 지역 이미지 실추와 관광객 유치 차원에서도 큰 손실이다.고객들은 기다려주지 않는다. 이미지 실추는 쉬워도 만회하기는 어렵다. 더 늦기 전에 고객의 불만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다.

  • 지역일반
  • 김정수
  • 2007.01.10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