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21:11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지역일반

[이치백의 一日五話] 6·25...인민군 대전에 침입

《7월 19일》①인민군 대전에 침입1950년 6·25 한국전쟁 초반 가위 파죽지세로 남하해 온 북한 인민군은 7월 19일, 대전에 침입했다. 거의 무저항 상태에서 들어온 것이다. 이때 미 육군 24사단은 싸움 한번 해보지 못하고 파멸되었으며, 사단장 딘 소장은 실종되었다. 며칠 후 그는 전북 진안에서 포로가 되었다.②이승만·여운영의 기일1965년 오늘,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4·19 후 다시 하와이에 망명 중, 조국을 그리며 90세로 눈을 감았다. 한편 정치가 여운형이 1947년 오늘 서울 혜화동 로타리에서 백주에 한지근에게 저격을 당해 세상을 떠났다. 송진우에 이어 세 번째. 범인 한은 이북에서 내려온 피난민.③로마 빈민촌에 큰불서력 64년의 오늘, 로마의 원형 대경기장 주변의 빈민촌에서 큰 화재가 일어나 연기가 하늘을 덮었다. 이에 놀란 시민들은 이리 뛰고 저리 뛰었지만 몽땅 불타버렸다. 이 화재에 황제 네로는 별장에서 달려왔지만 어쩔 수 없었다. 그러나 이 화재는 그의 소행이란 설도 있었다.④보불전쟁 발발이스파니아의 왕위계승 문제로 1870년 오늘, 프러시아와 프링스 간에 전쟁이 일어났다. 이를 보블(독·불) 전쟁이라고 한다. 당시 비스마르크의 정략과 몰트제의 전략에 의해 그 이듬해 독일이 크게 이겼다. 이 패전으로 프랑스는 50억 프랑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했다.⑤최초의 ‘구혼광고’1695년 7월 19일, 영국 런던의 한 신문에 다음과 같은 광고가 났었다. “본인 연령 30세, 자산가, 3천 폰드 정도의 재산을 가진 젊은 숙녀를 반려자로 삼고자 함”이란 내용이었다. 이는 세계 최초의 ‘구혼광고’이다. 그 후로 ‘연인 모집 중’ 또는 ‘결혼상대 희망’등 광고가 많았다.

  • 지역일반
  • 전북일보
  • 2006.07.19 23:02

[오목대] 행복지수

호주 옆의 작은 섬나라 '바누아투'가 세계에서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로 꼽혔다. 영국의 신경제재단(NEF)이 세계 178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삶의 만족도와 평균 수명, 생존에 필요한 면적과 에너지 소비량 등을 종합해 지수화한 것이다. 우리에겐 이름도 생소한 이 나라가 행복지수가 가장 높다니 의아스럽다. 국내총생산(GDP)은 전세계 233개 국가중 207위, 인구는 20만9000명에 불과한 나라다. 바누아투의 삶의 만족도는 7.4, 평균 수명은 68.6세, 1인당 국민소득은 2,944달러다. 이에 비해 한국은 평균 수명이 77세로 바누아투보다 8년 이상, 1인당 국민소득은 1만7971달러로 6배 이상 높았지만 삶의 만족도는 5.8로 크게 낮다. 한국은 102위였으니 행복지수는 경제적 부와는 비례하지 않는다. 행복지수는 국가간의 차이뿐 아니라 국민이 느끼는 그것은 어떨지도 궁금하다. 개인의 행복지수는 자신이 얼마나 행복한가를 스스로 측정하는 지수인데 영국의 심리학자 로스웰(Rothwell)과 인생상담사 코언(Cohen)이 만들었다. 이들은 18년 동안 1,000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80가지 상황 속에서 자신들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 5가지 상황을 고르게 하는 실험을 한 결과 '행복은 인생관·적응력·유연성 등 개인적 특성을 나타내는 P(personal), 건강·돈·인간관계 등 생존조건을 가리키는 E(existence), 야망·자존심·기대·유머 등 고차원 상태를 의미하는 H(higher order) 등 3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이 세가지 조건중 생존조건인 E가 개인적 특성인 P보다 5배 더 중요하고, 고차원 상태인 H는 E보다 3배 더 중요한데, 이 지수를 공식화하면 P+(5×E)+(3×H)가 된다. 이 공식에 따르면 인간의 행복에는 다른 어떤 요소들보다 건강·돈·인간관계 등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돈이 있어야 건강을 유지하고 인간관계도 맺을 수 있으니 개인의 행복지수는 결국 돈이 핵심인 셈이다.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별로 행복지수를 매긴다면 지역총생산량(GRDP)이 전국 최하위권인 전북은 어느 수준일까. 경제적 부와 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순위가 높게 나올까? 도민들이 느끼는 행복지수는 또 어느 수준일까. 경제력이 약한 지역, 그리고 그 구성원의 행복지수가 높게 나온다면 아무래도 이상할 것 같다.

  • 지역일반
  • 전북일보
  • 2006.07.19 23:02

[세상만사] 자치단체장들의 다짐 - 이경재

민선 4기 자치단체장들이 의욕적인 행보를 내딛고 있다. 사람부터 갈아 치우고 개혁의 칼날을 세운 단체장이 있는가 하면, 송곳은 주머니 속에 넣어둔 채 느긋하게 그림을 그리는 단체장도 있다. 자치단체 경영방침은 출범과 함께 이미 천명한 상태. 그러나 그들이 내거는 구호는 유토피아에 가깝고, 약속은 너무나 화려하다. 사업 가지수는 백화점 상품 숫자만큼이나 많다. 그래서 '이걸 누가 믿을까, 이걸 실현시키기 위해 얼마나 많은 무리수를 둘까' 하는 생각이 앞선다. '거짓말 퍽 하네' 라는 비아냥도 삐져 나온다. 특히 언론에 비친 그들의 다짐과 구상은 디자인 잘 된 포장지에 싸여 있다. 질문과 답변은 제삿상에 올려질 밤톨처럼 매끄럽다. 고민하는 흔적도 없다. 만능에 가깝다. 이런 형식이 그들을 과대포장하지 않을까 심히 우려스럽다. '개그 콘서트의 강유미 기자' 식으로 치면 '진부한 질문 감사합니다, 의례적인 답변 고맙습니다'가 제격이겠다. 시작하는 마당에 약속과 다짐은 필요할 터. 그러나 너무 거창하고 전시적이라면 조롱거리다. 좀 더 소박했으면 좋겠다. 지난 민선 3기 동안 얼마나 많은 구호와 다짐들이 울려퍼졌던가. 그랬던 만큼 우리 삶의 질이나 소득이 나아졌는가. 답변은 도리질. 그보다는 이런 식이면 어떨까. "꼭 확인하는 행정을 하겠다". 이를테면 준공에 앞서 도로를 짜르고 규격대로 포설이 됐는지 잣대로 잰 사례가 있다. 민선 성공사례로 평가받는 전남 장성군수가 그랬다. 다른 사업장들에 소문이 퍼져 철저히 시공하는 계기가 된 건 물론이다. 예산이 새고 둘러부치는 일들이 너무 많다. "승진 댓가로 부하직원 한테 돈 받는 일이 벌어지면 사퇴하겠다". 지금도 사무관 승진하는데 몇천만원씩 줘야 하는 관행이 있다. 치졸하지 않은가. 이른바 선거때 도움 받은 측근 관리를 잘해야 한다. 그들에게 핑계 댈 일이 아니다. "해외연수는 제안을 받아 시행하겠다". 기간, 숙박, 교통, 방문지, 소요예산 등을 스스로 작성해 이행토록 하고, 귀국해서는 보고서를 필히 제출하도록 하는 식으로 말이다. 생산적이지 못한 관광성 출장 관행이 사라질 것이다. 출장여비도 쓸어내야 할 관행이다. 시장 군수가 해외출장을 나가게 되면 관내업체나 공무원들이 일정한 여비를 갖다주는 관행이 있었다. 이런 관행을 싹 없애라. 이강수 고창군수처럼 해외출장을 앞두고 공무원들이 여비를 만들어 오자 되돌려 주라고 호통친 사례도 있지 않은가. 축제 같은 각종 행사경비를 업체에 떠넘기는 부조리도 없애야 한다. 업체한테 돈 받고 공무원들이 큰소리 칠 수 있겠는가. 그리고 공무원들의 친절도도 높여야 한다. 민원 부서는 금융기관 수준 쯤 돼야 한다. 민원인이 와도 멀뚱멀뚱 앉아있다면 시장이나 군수가 욕 먹는다. 세금 내 월급 주는 주민이 공무원 눈치 봐서야 되겠는가. 사실 이런 사례는 사소한 것들이다. 그러나 거창하고 화려한 다짐보다는 꼭 필요한 것에 대한 세심한 관심이 더 중요하다. 사회에, 행정내부에, 그리고 우리 의식 곳곳에 병리현상들이 너무 많이 찌들어 있기 때문이다. 관행이라는 이유로 그냥 지나치는 비민주적, 권위주의적 행태가 널려 있다. /이경재(전북일보 논설위원)

  • 지역일반
  • 전북일보
  • 2006.07.19 23:02

[딱따구리] 시의회서 'K1'경기를

지난 3일 군산시의회, 경기 시작을 알리는 공이 울렸다. 양 선수의 실력은 대등하다. 열린우리당(12명)과 연대(민주·민주노동·무소속, 12명). 승부를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결과는 열린우리당측의 완승이었다. 일부 선수들의 이동이 있었는지 짐작도 되지만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자리가 사실상 열린우리당 독식으로 마무리됐다.패배한 연대측은 링을 떠나지 못하고, 즉석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그러나 승부는 결정난 상황. 다음 경기는 19일로 예정돼 있다. 그런데 이번엔 연대측에서 링 위에서 인사만하고 경기는 하지 않을 계획이다. 팬들은 분노한다. 4년 동안 내내 시민들에게 입장료를 받아갈 사람들, 특히 종목도 마음대로 바꿔버린 사람들에 대한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군산시민들은 선수들(시의원)에게 매달 3000만원씩을 주며 ‘K1’을 보려한 게 아니다. K1은 그나마 룰이라는 게 있다. 군산시의회가 정당간 이해관계로 ‘밥그릇 싸움’이 한창이다. 열린우리당은 시장선거 패배와 절반가량의 의석 확보라는 참담한 성적표에도 부끄러운 기색이 없다.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자리를 힘의 논리로 차지하며 ‘건재’(?)를 과시했다.상당수의 초선의원들이 포함된 연대측도 밥그릇에 관심을 갖는다는 시선을 피하기 어렵다. 또 심판이나 중재에 나설만한 사람이 마땅치않은 것도 아쉽다. 사실 시민들은 시의회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올해부터 입장료(유급제)를 내는 상황에선 다르다. 게다가 여당 일색에서 힘의 균형을 맞춘 의회 구성에 내심 기대도 많았다. 시민들은 입장료가 아깝지 않은 화음을 들려주길 기대하고 있다. 적어도 K1은 아니라는 얘기다.

  • 지역일반
  • 이성각
  • 2006.07.19 23:02

[발언대] 폐교를 '교육박물관'으로 활용하자

지난 82년부터 현재까지 14년간 도내에서 초등학교 290개교, 중학교 14개교, 고등학교 5개교 등 모두 309개교나 폐교되었다고 한다. 정부는 농촌지역 소규모학교 학교 통폐합을 적극 요구하고 있고 전라북도교육청은 학생 수 60명 미만의 133개 초·중·고의 통폐합을 검토 중이라고 하니 앞으로도 문 닫는 학교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른 폐교는 막을 수 없을지라도 학교의 흔적은 남겨 둘 필요가 있다. 아니 비록 폐교된 학교일지라도 뿌리는 살려 두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교육이고 이 시대의 소명이다. 이 길은 곧 ‘교육박물관’을 세우는 일이다. 박물관은 보존·연구·교육·학술·교양·문화·예술의 산실이자 터전이다. 박물관은 사라져가는 자료를 찾아 생명을 불어넣어 문화재로 재창조한다. 박물관을 가보면 그 나라와 그 고장을 알 수 있다. 곧 박물관은 이 시대 얼굴이고 자존심이다. 현재 대전·제주·경기 등 3곳에 전문‘교육박물관’이 있다. 지난 92년에 개관한 대전의 한밭교육박물관은 2003년에 관람객 100만명을 돌파했다고 한다. 제주 교육박물관은 지난 96년에 개관, 고대부터 현재까지의 제주 교육과 관련자료를 전시하여 관람객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준다고 한다. 참으로 부러움을 살만한 지역이다.도내에도 국립전주박물관을 비롯 역사박물관, 종이 박물관이 있고, 지난달 진안박물관이 개관되었으며, 군산여상, 전주생명과학고, 전주 풍남초등학교 등 학교박물관이 제법 잘 갖추어져 있어 학교와 지역의 자긍심을 갖게 해주고 있다. 폐교가 급속도로 늘어가고 있는데 그 귀한 교육문화재를 모두 불태워버릴 것인가 심각히 고민할 때다. 교육은 내 뿌리를 찾고 지키고 꽃피우고 튼실한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이다. ‘교육박물관’이야 말로 폐교의 아픔을 씻어주고 교육·문화의 도시 천년 전주의 자존심을 지키는 일이다. 더 늦기 전에 우리 모두 중지를 모아 교육박물관을 세우자. /은종삼(전 진안 마령고등학교장)

  • 지역일반
  • 전북일보
  • 2006.07.19 23:02

[시론] 교권도 인권도 당신들의 몫 - 진동규

교육 현장에서 가장 심각하게 제기되는 것이 ‘교권 추락’ ‘인권 훼손’의 문제이다. 가르치는 선생님의 교권이고 또 그 선생님께 교육받는 학생들의 인권에 관한 문제이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모두 다 교육 현장의 주체인 당신들의 몫이라고 밖에 할 말이 없다.우리 아이들이 바로 내일 이 땅의 주인이 된다면 마땅히 주인 대접을 받아야 할 것이며, 그 주인을 교육하는 선생님의 교권은 또 존엄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교육의 내용 이전에 관계의 문제이다. 주인이 주인에게 주인 교육을 하는데 따른 관계 말이다. 우리 아이들이 주인 대접을 받아야 하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주인을 가르치는 선생님 또한 그렇게 대접받아야 하는 것이다. 교육 현장에서 이런 문제와 관련해서 짚고 가야할 것이 있다. 요즘 문제를 야기시키는 체벌에 관한 것이고, 또 교원 평가에 관한 시비가 그 것이다.체벌도 교육이라면 교육이고, 교권 추락이라고 말하는 교원 평가제도도 예우라면 예우다. 다만 이것들이 주인으로서의 대접이며 그 격에 맞느냐 하는 문제이다. 시대에 따라 환경도 변하고 문제도 다르게 형성되기 마련인데 시대에 맞게 그 교육 여건도 교육 내용도 함께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것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때 불협화음이 생기게 마련이다.나 어릴 적 우리 할아버지께서 나더러 회초리를 꺾어오라 하신 적이 있었다. 뒷동산에 가서 회초리를 다듬는 시간이 길었던 기억이 있다. 그 시절 우리 할아버지의 가치는 매 맞고 크는 자식이 잘 된다는 믿음이 있었을 시 분명하다. 그렇지 않고서야 종손인 큰 손자를 그것도 홀로 된 며느님 앞에서 어찌 회초리를 드실 생각을 하셨겠는가. 70년대 80년대만 해도 그렇다. 쓰든 달든 학교에 가면 “우리 아이 많이 때려 주십시오”가 인사였다. ‘매=사랑’으로 등식화 되어 있었던 시대였다.세월은 참 빠르고 빠르게 변한다. 학생들이 선생님께 대든다. 선생님에 대한 불신이다. 한마디로 우리 어머니 아버지가 안 그러는데 그러는 선생님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당연하다. 어머니 아버지 하고 다르게 느껴지는 그 자체가 문제다. 벌써 빠르게 변하는 가치에 부응하지 못한 것이다. 부모와 똑같이 하면 된다. 그것이 사랑이고 체벌이고의 기준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그러면 불협화음은 결코 없을 것이 아니겠는가.교원 평가라는 어휘 자체가 비교육적이다. 교육 현장의 언어로 부적절하다. 주인을 교육하는 선생님에 걸 맞는 방법이 필요하다. 나는 이런 생각을 해 보았다. 우리 선생님들께서 스스로 연구하면서 우리 아이들을 위하여 노력하실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그것이다. 전공분야가 됐든 비전공 분야가 됐든 우리 아이들에게 꼭 필요하다 싶으면 그 일에 푹 빠져 드는 선생님이면 되지 않겠는가. 그것이 땅의 역사이든, 마을의 풍속이든, 그 땅의 주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이다 싶으면 하나쯤 천착해 들어가는 선생님의 모습이면 얼마나 좋겠는가. 그것이 들꽃이어도 좋고 누가 바라보지도 않는 잡초라 해도 좋지 않겠는가. 그런 선생님을 찾아서 격려해주고 위로해 준다면 그 선생님 더 연구에 깊어 지실 것이 아닌가. 교원평가제라는 이름의 변형은 거기서 찾아야 되지 않을까 싶다. 그렇게만 된다면 우리 선생님들 연구에 몰두하시면서 기뻐하시고 행복해 하시지 않겠는가.학교는 남녀노소 또는 지역 간, 국가 간 할 것 없이 모든 사람이 즐겨 찾는 곳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 지역의 문화나 역사 모든 문제를 거기 가서 찾는 날 꿈꾸어 본다./진동규(시인·전북도 교육위원)

  • 지역일반
  • 전북일보
  • 2006.07.19 23:02

[알림] 알려드립니다 - 2006년 7월 18일

◆ 전주해성고 18회 동창회(회장 정민양) 정기모임 = 18일 오후 7시 전주 중화산동 ‘백제로’ 음식점, 011-651-5930(강성일).◆ 전주향친회(회장 서준용) 제655회 월례회 = 25일 오전11시 전주시청 민원실 앞 집결 출발, 완주 동상면 안골산장, 243-3646.◆ 여명어르신 일거리 마련센터‘일할실 수 있는 어르신’모집 = 중화산동·효자동·삼천동·평화동·서신동(차량운행 코스) 지역 60세이상 어르신, 조립·포장 등 간단한 수작업, 20명 수시모집, 229-5674, 017-659-2903◆ 전라북도장애인종합복지관‘자원봉사자’모집 = 봉사분야는 가사지원·이동목욕·프로그램 진행보조·수영 활동보조·미용봉사·주간보호··각종 장애인관련행사 지원 등, 월~금요일 중 2시간 이상 정기적으로, 전주시 효자동 전주대학교 후문, 222-9999◆ 가베교육연구소 전주지부 교육 = 유아교육기관 원장 및 교사 취업을 원하시는 분 선착순 20명, 가베의 이론과 활동놀이법 (기초겱?춠초등가베), 특전 가베 1set증정(정품 올우드) 가베교육연구소2급 지도자자격증발급 활용교재, CD증정, http://www.f-gabe.com, 903-1018, 011-682-5329 ◆ ‘준비된 부모되기’무료교육 = 동화책을 이용한 창의력 개발과 발달에 따른 지도방법, 강사 조숙자씨, 20일 오전11시~12시30분 또래교육센터 서신점, 전화접수, http://www.ddorae book.co.kr, 275-6377 .◆ 사회복지법인보배복지재단(부설 전북사회복지연구소) ‘정신장애인 책 기증 나눔 운동’ = 7월∼12월까지 교양서적(잡지 소설책 학급관련 등) 책 기증 받습니다, 후원계좌 551-01-395571 농협(예금주 전북사회복지연구소), 857-4031.◆ 가정폭력 피해자 및 행위자 상담 전문기관‘전주가정폭력상담소’ = 피해자에게 전문적인 상담, 법적·의료적 지원, 행위자에게 상담과 교육을 지원, www.jeonjufamily.or.kr, 기린사거리와 인후오거리 사이 구 인후1동사무소 자리 위치, 244-0227.◆ 또래교육센터 회원모집 = 재취업 기회 제공, 북아트·리본아트·발도로프·P.O.P(예쁜글씨쓰기), 취미반·자격증반, 소정의 교육후 교사로 활동가능, http://www.ddoraebook.co.kr, 275-6377, 011-682-5329.◆ 김제산악회(회장 김행곤) 경남 거창 금원산 = 20일 오전7시 김제 전신전화국, 목천포 7시25분, 회비 10000원, 547-1590, 019-645-2132, 010-8646-7080.

  • 지역일반
  • 미디어팀
  • 2006.07.18 23:02

지방공무원 합격자 명단 발표

도교육청은 17일 “지난달 18일 실시된 제1회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을 통해 128명이 최종 합격했다”고 발표했다.필기시험과 면접시험을 통과한 최종 합격자는 교육행정직 106명(장애인 6명 포함), 토목직 3명, 전기직 3명, 전산직 15명(장애인 1명 포함), 건축직 1명 등이다. ● 합격자 명단▲ 교육행정(일반)1003 박성인, 1568 김택중, 1014 김선영, 1599 정진옥, 1020 박영순1607 최서윤, 1042 심국현, 1619 최재현, 1058 황재연, 1631 박태진1073 홍관섭, 1665 김정아, 1102 채광석, 1709 이혜숙, 1114 이진명1711 강소영, 1118 김애란, 1724 강현숙, 1126 김지혜, 1737 정은정1133 김혜진, 1742 김양균, 1139 정형구, 1752 임재경, 1141 양윤희1764 이홍욱, 1170 송유진, 1805 이금희, 1184 박신조, 1812 김소연1202 이은혜, 1813 김정현, 1214 박은영, 1825 한성실, 1230 김경자1833 장연희, 1259 김선옥, 1844 박진철, 1282 원지선, 1864 송정흔1305 강성수, 1869 채은주, 1334 양현미, 1964 이충현, 1348 김주연2010 이백규, 1406 김소라, 2099 김민영, 1431 장선희, 2171 장유라1450 황기원, 2172 황현숙, 1464 유세희, 2207 방민욱, 1503 이상진2264 신종호, 1504 이인재, 2336 한경훈, 1552 김혜숙, 2412 이준기2418 정상현, 3013 전순복, 2442 김윤정, 3029 배상선, 2487 박 철3031 정현주, 2525 김희정, 3034 이경민, 2560 고유라, 3055 박보영2568 배정숙, 3085 한아름, 2619 김미선, 3106 최은호, 2632 김정훈3148 최재봉, 2655 한현석, 3158 홍영수, 2663 양병희, 3217 김인선2667 진영휘, 3221 차현정, 2698 박수진, 3223 박정연, 2702 유수정3229 강정화, 2711 허성욱, 3421 오윤경, 2771 이윤미, 3431 정지연2780 이혜진, 3436 심항무, 2815 김은미, 3488 박유정, 2851 박은화3544 진정아, 2957 유희정, 3564 진선미, 3007 정승희, 3669 이현진▲ 교육행정(장애)0101 이선찬, 0140 오애연, 0105 이찬호, 0162 임현식, 0113 최대호0169 윤재운▲ 토목6061 최형동, 6086 정향미, 6063 복병현▲ 전기7011 김신종, 7043 한정욱, 7020 최병욱 ▲ 전산(일반)8001 모상훈, 8032 최영란, 8002 황일수, 8049 김준섭, 8010 이성재8076 이현희, 8016 김필주, 8081 김세근, 8020 박정욱, 8108 신상민8025 신근호, 8160 임민영, 8028 박진철, 8171 나성일, ▲ 전산(장애)8902 백승현 ▲건축9005 임종수

  • 지역일반
  • 강인석
  • 2006.07.18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