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고용·산업 위기…실직 노동자·가족 보듬어야"
참여자치군산시민연대를 비롯한 25개 군산시민사회단체가 군산 고용산업위기 지정에 따른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28일 군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용위기, 산업위기 특별지역인 군산에 현실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정부의 재정 지원이 군산지역 고용과 산업위기를 극복하기보다는 눈먼 돈이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단체는 이어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과 한국지엠의 일방적인 군산공장 폐쇄 결정으로 군산경제에 큰 위기가 발생했다며 위기에 빠진 희망퇴직자, 해고자, 협력업체 퇴사자들에 대한 전수조사와 소득 원천징수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지원서비스를 통합해 당사자들에게 다양한 방식(우편, 문자 등)으로 전달, 지원을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해고노동자, 실직자, 희망퇴직자들의 재취업과 창업을 위한 기간과 실업 기간 동안 최저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통합지원(최저생계비지원, 대출원금 및 이자에 대한 유예 및 저리전환 등) 체계 마련을 촉구했다. 특히 희망퇴직, 정리해고, 퇴직한 모든 노동자의 생존과 생명을 보듬어야 한다며 실직은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의 삶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가정파탄이나 극단적인 선택이 올 수도 있다며 다양한 기관과 전문 상담사를 확보해 실직 당사자와 및 가족들에 대한 심리 상담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군산을 전기차 등 자동차 관련 산업지대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협력업체가 유지되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부품협력업체에 대한 대출, 인건비 지원과 함께 한국지엠 제공 납품 물량을 늘리고, 다른 자동차기업과 연계해 최소한의 부품납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민사회단체는 정부로부터 확보한 특별교부금 또는 향후 지원 될 정부의 지원 자금을 용도에 맞게 현재의 고용, 산업위기를 극복하는 사업에 사용할 것과 군산시가 적극나서 고용위기 극복과 산업위기 극복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