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기업, 인건비∙고용환경 개선 '고충'
김제시가 '기업하기 좋은 김제'를 지향하며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지원내용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지원대상이 아닌 일부 지역기업들은, 늘어나는 인건비 부담과 인력난 해소를 위한 고용환경 개선 등에 대한 고충이 여전해, 기업지원사업 활용을 위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제시가 최근 관내 기업 128개 기업(법인 118개사, 개인 10개사)을 대상으로 '내·외국인근로자 고용환경 실태조사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한 결과 김제시의 기업지원사업 수혜를 받는 기업은 81개사(63.3%)였고 아직 받지 못한 곳이 47개사(36.7%)였다. 수혜경험이 있는 분야는 생산기능직이 33개사(4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술직 22개사(29.3%), 연구개발직 9개사(12.0%) 순으로 집계됐다. 지역기업들은 가장 필요한 지원사업으로 신규직원에 대한 채용장려금 지원, 차순위로 장기근속자에 대한 고용유지금과 기업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 확대를 꼽았다. 이외에도 취업연계지원과 출퇴근차량지원, 교육훈련지원을 희망했다. 채용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원인으로는 지원자 부족(56개사, 52.8%), 임금수준에 대한 눈높이 차이(25개사, 23.6%), 업무강도 등 근무여건(14개사, 13.2%) 순으로 나타났고, 채용시 가장 어려움을 겪는 직무 1순위는 생산직(33개사, 50.4%)이었고, 단순노무직 18개사(15.1%), 연구개발직 15개사(12.6%)이 뒤를 이었다. 응답기업들의 고용현황을 보면 내국인 4959명(85.1%), 외국인 871명(14.9%)으로, 생산직과 단순노무직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근로자 채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이 때문에 응답기업중 가장 많은 40개사(49.4%)가 외국인 근로자 채용 및 고용유지를 위한 인건비 지원을 희망했고, 21개사(25.9%가 기숙사 등 주거지원, 12개사(14.8이%)가 비자 등 행정지원을 요청했다. 김제시는 이번 조사결과를 일자리 지원 정책 발굴 및 근로자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정성주 시장은 "최종 용역결과가 나오면 김제지역 기업들의 고용환경 개선을 위한 실효성 있는 중장기 지원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며 "앞으로도 기업하기 좋은 김제시 구현을 위해 보다 많은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