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21:30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지역일반

[딱따구리] 특수교육가산점폐지 논란

“특수교육 담당 교사들의 가산점을 폐지하라”전북장애인교육권연대(이하 장애인연대)의 주장이다. 얼핏 이해가 되지 않았다. 가산점은 우수교사를 영입하기 위한 최선책으로 꼽힌다는 점에서, 장애인학생들의 학부모로 구성된 장애인연대의 주장은 ‘우수교사와 거리를 두겠다는건가’라는 의문이 들었다.장애인연대의 ‘특수교육 승진 가산점 폐지’ 주장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해 9월에는 ‘장애인 교육예산 6%이상 확보 및 특수교육 승진 가산점 폐지’ 등을 주장하며 28일간에 걸쳐 천막농성을 벌였었다. 결국 장애인연대와 도교육청은 같은달 29일 ‘승진가산점을 2008년 3월 1일부터 폐지한다’는 데 합의했다.헌데 장애인연대의 주장을 찬찬히 들여다 보면, 현재의 장애인교육에 대한 불신이 숨겨져 있다는 점에서 뒷맛이 개운치않다. 현재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 담당 교원 가운데 40명 가량은 특수교사자격증이 없는 일반교사들인데다, 상당수 교사들은 교감승진을 위한 가산점을 위해 장애인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는 것. ‘전문성도 떨어지는데다 승진에만 골몰하는 교사들이 장애인학생들을 제대로 가르칠 수 있겠느냐’는 게 장애인연대측의 주장이다.그런 장애인연대가 다시 목소리를 높이고 나섰다. 장애인연대는 11일 도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교육청은 특수교육승진가산점폐지를 서둘러 폐지하라”고 촉구했다. 일부 특수학교 관계자들이 학부모와 학운위원들을 대상으로 승진가산점 폐지를 철회할 것을 종용하고 있다는 주장도 빼놓지 않았다. 이래저래 공교육의 불신이 커지고 있다. 모쪼록 밥그릇싸움의 여파로 인해 장애인학생과 묵묵히 장애인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대다수 교사들에게 나쁜 영향이 미치지 않았으면 한다.

  • 지역일반
  • 정진우
  • 2007.07.12 23:02

[명상칼럼] 간디가 그립다 - 회일

간디가 그립다.얼마 전 태국에서 일어난 평화적 쿠데타가 화제 였다.이 쿠데타로 탁신수상이 물러났다.탁신은 태국의 경제부흥을 부르짖어 국민의 절대적 지지아래 수상까지 올랐다.그러나 막대한 부를 가진 경제인답게 수상이 되어서도 국가와 국민을 생각하는 것보다 자신의 부를 쌓는 데에 열을 올렸다.결국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기업의 주식을 싱가포르회사에 넘겨 큰 차익을 얻었음에도 세금 한 푼 내지 않아 국민들에 의해 쫓겨나고 말았다.탁신은 청백리로 우리나라까지 널리 알려진 잠롱 전 방콕 시장이 지원하여 정계에 입문했는데 부패한 탁신정부를 몰아내는 데에도 잠롱이 나서 시위를 주도했으니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나라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절대 요인 중 하나는 정치 지도자의 도덕성이다.중국의 현대사에서 장개석이 이끄는 국민당정부가 모택동의 공산당정부에 패한 요인 또한 국민당정부와 지지자들의 도덕적 부패였다. 70년대 킬링필드로 잘 알려진 캄보디아 내전에서 인구의 삼분의 일이 죽임을 당한 비참한 역사 또한 가진자들의 횡포와 부패에서 비롯됐다.우리와 무관치 않은 베트남전쟁 역시 미국을 등에 업은 부패한 정부에 대한 국민의 저항이었다.객관적 전력으로는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계란으로 바위치기의 전쟁에서 결국 민중적 지지를 얻은 북베트남과 민족해방전선이 승리를 거두며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을 건립했다.여기에는 극히 청렴함과 국민적 아픔을 같이 했던 호지민이 지도자로 있었다.부패한 나라와 정부는 국민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안겨주며 망하는 것이 역사 속에서 검증된다.철학자 루소는 정치에 있어 도덕적 덕목을 최우선으로 제시했다.민주주의 철학을 제시하며 지도자의 도덕성은 곧 민주주의와 직결된다하였다.요즘 대선후보들의 검증논쟁이 뜨겁다.그에 따라 국민이 알지 못한 여러 사실들이 속속 들어나고 있다.최근 이명박 후보는 그의 막대한 재산형성과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거기에 그치지 않고 친인척의 재산형성과정이 가히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설혹 정당한 법적 태두리 안에서 재산을 형성했다하더라도 그의 도덕성에 의심을 갖지 않는 국민은 없을 것이다. 친인척 모두가 이명박 후보의 지위를 바탕으로 형성된 재산을 어찌 법적 잣대로만 판단하겠는가?.요즘 대선후보들을 보고 한 지도자가 자꾸 머리에 스친다.간디다.평생 진리탐구의 정신으로 국민만을 생각하고 떠난 간디.허름한 티셔츠와 로티(인도 남자가 두르는 치마) 차림의 지도자.마지막 그가 남긴 것은 지팡이와 슬리퍼 두 켤레 그리고 힌두성전이었다.난 지금의 대선후보들에게 간디 자서전을 한권씩 선물하고 싶다. /회일(참좋은우리절 주지)

  • 지역일반
  • 전북일보
  • 2007.07.12 23:02

[오목대] 치우천황(蚩尤天皇)

중국 네티즌과 언론이 한국 역사 소설과 만화, 또는 각종 마스코트등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고조선 시대의 치우(蚩尤)천황을 놓고 한국인들이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하여 반발하고 나섰다. 홍콩의 친(親)중국계 신문인 문회보는 상당수 중국 네티즌들이 “한국인들이 중국민족의 조상중 한명인 치우천황을 자신들의 조상으로 인정할뿐 아니라 치우천황이 중국 황제를 정복했다고 주장하는데 격분 통렬하게 비난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역사왜곡은 중국인이 하고 있는데도 오히려 우리쪽에 생때를 쓰고 있는 것이다. 한반도의 통일에 대비해서 2백만 조선계 중국인 (조선족 자치지구 )의 동요를 미연에 막고자 동북공정 프로젝트 라는 것을 를 만들어 고구려사를 중국의 변방사로 편입시킨 것이 그들이다. 심각한 역사왜곳이다. 중국인들은 자기들 역사의 시작을 삼황(三皇)시대부터로 보고 있다.삼황이란 수인(燧人)씨 ,복희(伏羲)씨, 신농(神農)씨로써 수인씨는 부싯돌을 주어 음식을 익혀먹는 법을 가르쳐 주었고 복희씨는 사냥과 물고기 잡는법을 가르쳐 주었으며 신농씨는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한다. 그러나 중국의 역사가 사마천은 이를 신화시대라 하여 역사적 사실로 인정치 않았다.사마천은 그가 쓴 사기(史記)에서 오제(五帝)를 역사의 시작으로 간주했다. 오제란 제1대 황제(黃帝), 제2대 전욱(?頊) 제3대 제곡(帝?) 제4대 요(堯) 제5대 순(舜)의 다섯 임금을 뜻한다. 치우천황은 제1대 황제때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제1대 황제는 주위의 모든 제후들을 제압했으나 치우천황만은 굴복치 않고 반란을 일으켰으며 탁록이라는 들판에서 싸워 치우천황을 사로잡아 죽인후 천자로 등극했다. 치우천황이 자기들 조상이라면 왜 황제와 전쟁까지 일으키면서 불화를 가질 필요가 있었겠는가 .강단사학에서 역사사료가 아니라고 밀쳐버리고 있는 [ 환단고기]나 [규원사화]에도 치우천황은 엄연히 우리조상으로 등장된다. 중국측이나 우리측 사료에도 엄연히 등장된 치우천황을 우리역사에서 홀대하다는것도 식민사관의 잔재라고 볼 수밖에 없다. 치우천황을 중국역사에 빼앗겨서는 안될 것이다.

  • 지역일반
  • 전북일보
  • 2007.07.12 23:02

반딧불축제 수익금 전액 무주읍청년회, 독거노인 도와

무주 반딧불축제를 통해 벌여들인 수익금을 생활이 어려운 독거노인들에 전액 기탁한 모범단체가 있어 귀감이 되고 있다.무주읍청년회 회장 김형종(39)은 지난 제11회 반딧불축제에서 모은 수익금을 ‘함께 나누는 따뜻한 사회’ 만들기 실천을 위해 지난 10일 전액 기탁했다.10명에게 전달된 성금은 무주읍에서 선정한 독거노인들로 자칫 소외되기 쉬운 이들에게 따뜻한 이웃의 사랑을 나누고 기쁨을 선사했다. 시각3급 장애인으로 어렵게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이화중(81)씨를 비롯해 이날 성금을 전달받은 어르신들은 하나같이 “감사하다”는 말로 고마움을 대신했다.무주읍청년회 김형종(39)회장은 “독거노인 돕기 행사는 무주읍청년회가 매년 실시해오면서 우리 청년들이 가장 뜻 깊게 생각하는 행사다”며 “앞으로 성금 전달 등 눈에 보이는 행동보다는 독거노인들에게는 외로움을 달래주는 말동무로, 소년소녀가장에게는 사회생활의 선배로서 조언을 해주는 역할로 소외계층에게 관심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매년 무주읍 청년회는 자체적으로 마련한 성금으로 독거노인을 비롯해 소년소녀가장을 돕는 등 소외계층에 대해 지역공동체로서 역할을 톡톡히 수행해 나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 지역일반
  • 김정수
  • 2007.07.11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