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지정 통해 대덕·오송 등 연계 과학 메카 육성
정부가 국토연구원의 보고를 바탕으로 세종시의성격을 기존의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교육·과학 중심의 경제도시로 전환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지정을 통해 인근 대덕·오송 등과연계한 '과학 메카'로 육성될 전망이다.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오는 2015년까지 200만㎡의 사업부지에 3조5천억원을 투입하는 대형 국책사업으로 현 정부의 과학 분야 최대 대선공약이지만 지난 2월 특별법이 국회에 제출된 뒤 제대로 심의조차 받지 못했다.
과학비즈니스벨트가 세종시 자족방안으로 부상하게 된 것은 이를 통해 대규모 연구개발 클러스터를 형성, 과학도시로의 조성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여기에는 독일 드레스덴과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RTP)의 성공 사례 등이 배경이 됐다는 후문이다.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시 세종시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과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위한 대형 연구 및 분석 장치인 중이온가속기연구소, 대형연구시설·장비 등이 들어서게 된다.
기초과학연구원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일본 이화학연구소와 같은 기초과학 종합연구기관으로 장기적으로 50개 연구단 3천명 규모로 조성된다.
정부는 과학비즈니스벨트가 유치되면 교육·과학 중심으로 기업까지 포함하는 경제도시로 세종시를 발전시키는 '키스톤(keystone.쐐기돌)' 역할이 가능하고 대덕,오송·오창 등 주변 도시의 기초과학연구·생명과학·과학산업 등과 시너지 효과로 연계 발전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