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왜 식품산업을 선택했나…지역경제 이끌 '터보엔진' 발굴
전북이 식품을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 선택한 것은 농도인 전북의 산업구조가 자리하고 있다.
산업구조상 전북은 전통적으로 농업의 비중이 높고, 이를 바탕으로 한 음식료품 산업이 상대적으로 발달한 점이 출발점이 됐다.
이는 지난 2006년 기준 지역내 총생산(GRDP, 26조3118억원)에 잘 나타나 있다.
지역내 총 생산에서 농림어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국(3.1%) 평균의 3배를 넘는 10.5%에 달했다.
음식료품은 도내 전체 1인 이상의 총 사업체 수(8882개) 가운데 20.7%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았다. 음식료품의 생산액 및 부가가치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에 이어 두번째에 달할 정도였다.
그렇지만 음식료품 산업은 대부분의 업체가 영세한데다 생산성이 낮아 지속성장에는 한계가 있었다. 지역 총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았지만, 지역경제를 견인할 수 있을 정도의 성장동력은 되지 못했다.
더구나 한계상황에 다다른 것으로 분석된 이들 산업은 2000년대 들어 커다란 위기를 맞았다.
FTA체결 등으로 인해 외국산 농축산물 및 식품들이 수입되면서 농림어업은 물론이고 음식료품 산업은 고사위기를 맞게 된 것.
이런 상황속에서 찾은 돌파구가 '식품산업'이었다. 단순 가공에 머물던 도내 식품산업을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려는 것. 이를 통해 위기의 농림어업을 견인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당시만해도 일반인들에게는 '식품산업'이라는 용어가 낯설은 터라 결코 쉽지 않을 길이었다.
당시 식품산업을 추진했던 전북도 관계자는 "2006년께 본격 사업에 착수했는데, 당시 도내 상황은 황무지나 다름없었다"면서 "더구나 식품산업에 대한 인식도 낮아 주위에서 '가능하겠느냐'는 우려반 놀림반의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고 소개했다.
적잖은 우여곡절을 겪은 식품산업은 지난해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정부의 예비타당성을 통과, 국책사업으로 선정되면서 빛을 보게 됐다.
식품산업의 가치를 뒤늦게 파악한 타시도 자치단체들이 너나 할 것 없이 뛰어들었다. 그러나 국내 식품산업의 헤게모니는 오랜전부터 준비를 해온 전북의 몫이었다.
국가식품클러스터를 통해 식품산업 육성의 기반을 다진 전북의 최종 목표는 국내 농식품의 허브기지로의 도약이다. 여기에서 한발 더나아가 동북아 식품산업 중심을 꿈꾸고 있다.
지난 2006년부터 착실하게 준비를 해온 덕분에 전북의 식품산업 기반은 풍부하다.
현재 도내에서는 장류와 치즈, 복분자, 홍삼 등 다양한 식품자원과 이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R&D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다.
정읍에는 국가 연구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방사선 과학연구소, 인전성평가연구소가 있으며, 전주의 생물산업진흥원과 순창 장류연구소 등 17개의 식품 R&D기관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조성작업이 한창 진행중인 전북혁신도시에 한국식품연구원을 비롯한 8개 농·생명 공공연구기관이 오는 2012년까지 이전하게 되면 식품연구기관은 25개로 늘어나게 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