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 '여행' 상영후 팬들과 국밥 브런치 토크…편안하고 진지한 분위기속 설렘 이야기
4일 오후 2시30분 삼백집에서 영화감독 배창호(57)가 아홉명의 팬들과 만났다. 늦은 점심. 게다가 이렇게 뜨거운 날씨에 콩나물국밥이라니…. 하지만 그는 "어제 술을 마셔서 좋다"며 "전주에 콩나물국밥이 유명한 이유가 뭐냐"고 물었다.
"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은 상당히 오랜만이에요. 요즘 영화를 보면 사람을 보는 시각이 부정적인 요소들이 많아요. 비열하고 열등하고 폭력적이고 나아가 엽기적이고…. 흥행 때문에 웃음을 꾸미려면 어쩔 수 없지만 덩달아 영화도 경박하고 천박한 경우가 있지요. 나는 인간 원형에 대한 믿음이 있는데…. 이런 내가 현대적인 영화를 찍으면 시대와 떨어지는 것은 아닌가는 생각도 들었었지요."
쉬는 동안 대학 영화과 교수로 몇 년 있었다. 스무살 젊은이들과 만나며 21세기 속에서도 옛날의 순수함이 살아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는 "세상이, 인간이 저렇다고 해도 젊은 이야기를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2010 전주국제영화제' 중 '한국영화 쇼케이스'에서 상영된 배감독의 새영화 <여행> 은 제주도를 배경으로 한 3부작 옴니버스 영화다. 입대를 앞둔 남학생과 미국 연수를 준비 중인 여학생이 사랑과 우정 사이를 오가며 할머니와 단 둘이 사는 소녀는 오래 전 집을 나간 엄마를 미워하지만 그리워한다. 남편과 아이 보살피기에 지친 중년의 주부는 홀로 제주도 여행을 감행한다. 세번째 에피소드의 중년 주부는 배감독의 아내 김유미씨. 이번 전주로의 여행에도 동행했다. 여행>
"첫번째 에피소드는 제자들에게 상황을 주고 시나리오를 같이 썼어요. 내가 내면이나 본질은 알지만, 대사까지 구체적으로 쓰기에는 젊은이들의 생각을 잘 모르니까요. 두번째 에피소드는 다른 섬에 갔다가 섬이 답답해 탈출한 한 며느리의 이야기를 듣고 쓴 건데, 중학생 딸 아이를 데리고 대사를 썼어요. 세번째는 우리 집사람과 같이 썼는데, 체험할 수 없다면 나를 낮춰서 이해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세 편의 에피소드는 다 길로 끝이 난다. 감독은 "쉽게 인생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길"이라며 "우리가 살아가는 목적과 방법이 다 길"이라고 말했다. 극적인 사건이나 멋을 부린 명대사는 없어도 지루하지 않은 영화. "별로 지루하지 않았나요?"라고 감독이 물었다. 한숟가락 국밥을 뜨던 한 팬이 "그래서 저는 올해 제주도 가려고요!"라고 답했다.
"좋은 영화는 정서에 주는 음식이라고 생각합니다. 가공적인 영화를 보면 식욕을 잃고 나오는데, 삶을 잘 다룬 영화를 보면 식욕이 돋아나죠. 아, 국밥 토크는 이번이 처음인가요? 한정식 토크를 한 번 해보시지…. 허허. 국밥이 서민음식 중 하나인데, 더 전주적인 것 같습니다."
그는 "게스트와의 만남(GV)은 딱딱한 분위기가 연출될 수 밖에 없는데, 국밥 토크는 맛은 다 못 느껴도 편안하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내 영화를 좋아하는 분들과 진지하게 이야기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전주영화제에 오기 위해 이틀이나 회사에 휴가를 냈다"는 양유정씨(29·대전)는 "평소 보고 싶은 감독을 직접 보니 떨리고 설레인다"며 즐거워했다. <고래사냥> 때부터 팬이었다는 이동화씨(47·전주)는 "감독님을 직접 만나니 소탈하고 좋은 분 같다"며 "감독님의 영화들과 이미지가 통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고래사냥>
"지금은 다 사라진 거 같은데, 80년대 오다가다 보면 전주에 다방이 많았어요. 허름한 다방에 가도 동양화나 글씨가 있는 걸 보고, 아, 이래서 예향 예향 하는가 보다 했죠. 그 때는 백반에 반찬도 많이 줬었는데…."
그는 "전주천이 고요하게 흐르는 전주는 음식 가지수도 많지만, 여러가지로 넉넉하고 풍요로운 곳 같다"고 했다. 올해 '경쟁부문' 중 '국제경쟁' 심사위원도 맡고 있는 그는 "의외로 아직도 저렇게 영화를 만드는구나 할 정도로 고전적인 영화도 있어 반가웠다"며 "여러 나라의 특색있는 영화를 볼 수 있어 좋다"고도 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