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와 교과로 정복하는 논술[91]-제시문
[가]
현대인의 본성이 황폐하게 된 것은 사회의 진보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경제적 생산성의 증가는 좀 더 정의로운 세상을 만드는 데 필요한 것들을 제공하여 주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 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집단에게 그렇지 못한 다수에 대하여 엄청난 우월감을 갖게 해 주었다. 개인은 경제 권력 앞에서 완전히 무기력해지며, 이 권력은 인간 본성에 대한 사회의 폭력을 일찍이 예견하지 못했을 정도까지 밀고 나간다. 개인은 그가 사용하는 기술 장치 앞에서 사라지지만, 그 대가로 이 장치에 의해 과거 어느 때보다도 많은 것을 제공받는다. 정의롭지 못한 상황에서 대중에게 분배되는 재화의 양이 증가할수록 대중은 무기력해지고 조종될 가능성이 커진다. 물질적으로는 괄목할 만하지만 사회적으로는 보잘것없는 대중의 생활수준 향상은 천박한 정신의 확산에서 잘 나타난다.
― 아도르노·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나]
검은 수염의 얼굴이 높다란 구석구석 어디에서나 내려다보고 있었다. 바로 맞은편 집 앞에도 붙어 있었다. 검은 눈이 윈스턴의 눈을 매섭게 노려보며 '대형은 그대를 감시하고 있다.'라면서 으르고 있었다. 저 아래의 길 한 구석에 찢어진 또 하나의 포스터가 바람에 펄럭이며 '영사(英社, England Socialism:'영국사회주의의'의 새로운 약어)란 낱말을 가렸다 보였다 했다. 멀리서 헬리콥터가 지붕 사이로 스치며 쇠파리처럼 잠시 머뭇거리다가 산회 비행하여 날아가 버렸다. 사람들은 창문으로 감시하는 경찰 비행기였다. 그러나 이런 순찰쯤은 아무것도 아니다. 문제는 사상경찰(思想警察)이었다.
윈스턴의 등 뒤에서 제 9차 3개년 계획의 초과 달성에 대해 텔레스크린이 지껄이고 있었다. 이 텔레스크린은 저쪽에서 오는 걸 방송하는 동시에 이쪽 것을 전송한다. 윈스턴이 내는 소리는 아무리 작은 소리라도 모두 걸려든다. 그뿐 아니라 이 금속판의 시계(視界)안에 들어 있는 한, 윈스턴이 하는 행동은 다 보이고 들린다. 또한 언제 감시를 받는지 알 수도 없었다. 사상경찰이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한 개인을 감시하는가는 단지 추측밖에 할 수 없다. 사상경찰이 모든 사람을 언제나 감시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어떻든 그들은 하고 싶을 때면 언제든 감시의 선을 꽂을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이 내는 소리는 모두 들리고 캄캄할 때 외에는 그의 모든 동작이 세밀히 감시되고 있다는 전제 아래 살아가야 했고 또 그게 본능적으로 습관화되어 있었다.
-조지오웰의 『1984년』
[다]
인터넷을 중심으로 디지털 혁명이 가속화되면서 세계의 지구촌화와 정보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제 빠른 시간 내에 필요한 정보를 찾는 것은 권력, 경제력에 버금가는 또 하나의 능력으로 여겨질 정도이다. 하지만 정보화가 진전될수록 그 그늘도 깊고 짙어지고 있다. 빈국과 부국 사이에, 노령층과 젊은층 사이에 정보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른바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는 빈곤, 기아, AIDS, 교육 등에 이어 국제 사회가 함께 풀어야 할 큰 화두로 떠올랐다. 유엔개발계획(UNDP)에 따르면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의 70%가 세계에서 부유한 상위 24개 국가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단지 전 세계 인구의 16%에 해당할 뿐이다. 임금 대 인터넷 접속 비용은 정보 강국인 미국이 1.2%인 데 반해 마다가스카르는 614%, 네팔은 278%로 인터넷에 접속할 컴퓨터나 통신 기술 등이 발달하지 않은 나라에서는 자연 정보에 접근할 기회조차 적다.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서는 일반인들에게 컴퓨터와 인터넷은 생소한 단어이다. 이 같은 제반 인프라의 부족과 기술력의 차이가 정보 격차로 이어지고 결국에는 빈부국 간의 경제 격차로 확대되어 빈곤의 악순환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이다.
-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 경제>
논술문 작성하기-생각을 어떻게 정리할까?
논제 : 제시문 [가], [나], [다]는 정보화 사회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과 관련이 있는 글이다. 각 제시문의 논지를 활용하여 정보화 사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쓰시오. (900자 내외)
토론하기-어떻게 설득할까?
논제 : 정보화는 사회를 평등하게 하는가?
* 예상 반론까지 포함하여 위의 주제로 토론문을 작성해 보자. (600자 이내)
정보화 시대인 현대 사회의 현상을 이해함에 있어 고전적 인과 관계에 의한 연구 방식과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할 것을 요구한다.
위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대 사회의 변화 양상과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은 논술 시험의 단골 출제 패턴이다. 물론 현대 사회의 다양한 특징과 문제 상황은 한두 가지로 특정할 수는 없지만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 변화의 양상은 현대 사회의 특징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단골메뉴이다.
정보 기술이 발전되면 정보 경제라는 새로운 경제 부문이 급격하게 떠오르게 되고, 그에 따라 개인의 생활 방식과 사회 구조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정보 사회는 '재화를 생산하는 경제'보다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경제'라는 특징을 지니며, 정보 지식이 탈산업 사회의 핵심 자원이다. 따라서 정보 사회는 이전의 산업 사회와 완전히 다른 체제를 지녀 제3의 혁명이라고 불릴 정도로 새로운 탈산업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에 대해서 간접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평등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도 있지만 반면에 정보 독점을 통한 절대 권력의 등장과 통제된 사회에 대한 우려도 있다. 그래서 정보화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보다 깊이 있게 분석해 내고, 본질적인 대응 방안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어떻게 볼 것인가? - 토론거리
1. 정보화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정보화 사회는 탈산업 사회인가?
2) 정보화 사회는 후기 산업 사회인가?
2. 카피라이트가 우선인가? 카피레프트가 우선인가?
1) 정보의 교류와 창작자의 권리 중 무엇이 더 중요한가?
2) 지적재산권과 관련하여 인간이 소유할 수 있는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3.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은 이상 실현을 위한 수단인가 재앙의 씨앗인가?
1) 정보 통신 기술은 새로운 소통의 도구인가? 인간 소외를 심화시킬 것인가?
2)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민주주의의 이상이 실현될까? 절대 권력이 탄생할까?
[어떤 교과와 관련되었는가?]
▲ 고등학교 <사회> Ⅹ. 1-(1) 대변혁의 특징 사회>
▲ 고등학교 <인간 사회와 환경> Ⅲ-(2) 산업화의 지리적 배경 인간>
▲ 고등학교 <사회ㆍ문화> VI. 미래사회의 전망과 대응 사회ㆍ문화>
▲ 고등학교 <정보사회와 컴퓨터> Ⅰ. 사회 발달과 컴퓨터 정보사회와>
▲ 고등학교 <미디어와 사회> 5. 인터넷과 사회 2) 인터넷이 변화시키는 사회 미디어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