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생각하는 공정한 사회는 돈이 권력이 아니라 사람의 성품이 권력이 되는 사회, 자살률 1위가 아니라 공정률 1위가 될 수 있는 사회, 강자가 아닌 약자가 많은 이 사회가 진정한 공정사회다.(양소연 2년)
▲요새 고령화가 심각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데 노인들의 삶이 어떤지 뒤 돌아봐야 한다.정부는 노인복지에 더욱 더 힘을 써야한다. 항상 고령화가 문제가 된다고 하지만 말고 노인들도 편하게 사는 세상이 공정한 사회다.(전다솜 2년)
▲공부 잘하고 돈이 많다고 성공하는 그런 사회가 아니라 진정으로 자기가 하고 싶은 일, 자신만의 개성을 살려 살아가는 것이 행복한 삶이다. 서민들 중에서도 최하위 계층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공정사회가 되는 것이다.(김지은 2년)
▲공정사회는 빈부격차가 어느 정도 해소된 사회이다. 모래시계형 구조는 중산층은 적고, 하층민의 비율이 많은 가장 불안정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가 개선되어 가난한 사람들도 마음 편히 살 수 있게 우리 경제가 좋아져야 공정사회가 빨라진다.(백설 2년)
▲공정사회란 모든 사람들이 따뜻한 마음을 지니고 타인을 배려하는 사회다. 세대계층을 아울러 국민의 몫을 다하도록 역할을 만들어 주고 국민 역시 자신의 의무를 다하는 사회가 진정한 공정사회다.(김수지 2년)
▲정치인이 올바른 생각으로 국민을 위해 헌신해야 하며 정치에 대한 시민들의 꾸준한 관심과 사회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 비리 없는 깨끗한 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사욕을 품지 않는 정치인을 양성해야 된다고 생각한다.(채혜진 2년)
▲내가 생각하는 공정사회란 모든 이들에게 공정하게 기회를 주는 것이다. 따라서 입학사정관제 역시 공정사회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슈퍼스타K, 위대한 탄생 같은 대국민 오디션이 프로그램등이 공정사회를 만들어 가는 초석이 될 것이다.(소선아 2년)
▲공정한 사회란 같은 한나라의 국민으로서 차별되지 않은 똑같은 권리를 누리며, 권력과 부에 휘둘리지 않는 평등한 법이 실현될 수 있는 사회여야 한다.(김가연 2년)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