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NIE] 민족 고유 명절 '설'

달라진 설 풍경…변함없는 명절의 의미

전북일보의 전신인 전북신문 1981년 2월 5일자 신문에 실린 설날의 전북 풍경과 구제역 한파가 몰아쳐 비교적 한산했던 올해 설날의 모습. (desk@jjan.kr)

[관련교과탐구]

 

-초등학교 사회 3학년 1학기 3단원 고장의 생활과 변화

 

-초등학교 사회 4학년 2학기 2단원 여러 지역의 생활

 

-초등학교 사회 5학년 1학기 1단원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신문 읽기]

 

민족이 대이동하는 설명절, 귀성과 귀경 행렬이 장사진을 이루는 가운데 시민들은 고향 또는 삶의 터전에서 부대끼며 명절의 의미를 다졌다.

 

귀경행렬이 줄을 이은 15일 오후 6시 30분께 전주고속버스터미널 대합실은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과 이들을 배웅 나온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전주 한옥마을은 연휴를 보내려는 가족단위 관광객들로 흐린 날씨에도 연일 북적였다. 전통 놀이와 음식 등 다채로운 문화체험 행사가 진행돼 내국인 뿐 아니라 외국인들도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에 흥겨워했다. 윷놀이로 올해의 운세를 점치는 '윷점'과 가족끼리 한마음으로 뛰는 '가족 줄넘기' 등 전통놀이가 마련된 전주 공예품전시관은 연휴 마지막날인 15일까지 시민들로 붐볐다.

 

12일에는 전주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이 준비한 아시아인 설날 문화 한마당이 열리 이주여성 가족 80여명 등이 직접 떡국을 만드는 등 체험을 했다. <전북일보 2010년 2월 15일자>

 

오늘(5일)은 음력 설날, 구정은 역시 우리 민족 전래의 고유한 명절이다. 대부분의 가정은 정성스레 마련한 음식을 차려놓고 온가족이 모여 조상에게 경건한 차례를 올리고 웃어른들에게 세배한 뒤 성묘길에 나섰다.

 

이날 아침 전북 지방의 거의 모든 상가는 완전 철시, 거리가 극히 한산했고 구정이 공휴일로 지정되지 않은 아쉬움속에서 출근한 관공서직원들은 일손이 잡히지 않는 듯 잔무만을 정리했다. 세월의 흐름에 따라 구정의 풍습과 정취가 많이 변한 것은 사실이지만 전통적인 최대 명절이란 점은 귀성인파가 입증해준다. 구정대목을 기해 전주시내의 열차역과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터미널은 모처럼 고향을 찾는 귀성객으로 크게 붐볐다. 전주공단의 대부분 기업체도 보통 3~4일씩의 유급휴가를 실시, 근로자들로 하여금 고향을 찾게 했다. 명절기분은 시골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차례와 성묘 및 세배를 마친 농촌주민들은 삼삼오오떼를 지어 윷놀이, 널뛰기, 풍악 놀이로 명절의 정취를 한껏 돋구었다. 설날의 민속놀이는 시골과 도시와 모습이 사뭇 달랐다. 도시에서는 극장가와 전자 오락실 및 로러스케이트장이 붐볐으나 대부분의 상가들은 4일밤부터 굳게 문을 닫았다. 고객의 발길이 뜸해진 금융가는 거의 개점휴업 상태였다. <전북일보 1981년 2월 5일자>

 

[생각 열기]

 

음력 1월 1일은 우리 고유의 명절 설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설날, 한식, 단오, 추석을 4대 명절로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설날에는 설빔으로 갈아입은 뒤 조상님께 차례를 올리고, 웃어른께 세배를 드렸습니다. 그리고 1년 동안 나쁜 일 없이 잘 보내기 위해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바라는 의식을 치렀습니다.

 

시대가 흐름에 따라 설날 풍경이 조금씩 달라지긴 했지만 온 가족이 모여 새해를 함께 시작하는 날인 것만은 변함이 없습니다. 조상들의 설날 풍속과 오늘날 달라진 모습들을 알아봅시다.

 

[생각 더하기]

 

▲ 설날을 대표하는 음식은 떡국입니다. 떡국의 국물은 소고기나 꿩고기를 삶은 물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꿩고기가 없을 때는 닭고기를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꿩대신 닭'이란 말이 생겨났다고 합니다. 설날과 관련된 속담을 찾아 보세요.

 

▲ 오랫동안 전해 내려오는 풍습을 세시풍속이라고 합니다. 세시풍속은 사람들이 사는 곳의 자연환경과 사람들이 하는 일과 관련이 있지요. 설날부터 정월대보름까지를 정초라고 하는데 세시풍속과 민속놀이가 가장 많이 있는 때입니다. 정초의 세시풍속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복조리, 머리카락 태우기, 야광귀 쫓기 등

 

▲명절에 도시 사람들이 고향인 농촌을 찾아 대규모로 이동하는 현상을 '민족 대이동'이라고 합니다. 산업화 사회가 되어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기 위해 혹은 공부를 하기 위해 도시로 몰려들어 일어난 현상입니다. 또한 IT기술이 발달하면서 해외에 있는 친척과도 영상통화나 화상채팅을 통해 새해 인사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기술의 발달이나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 설날의 모습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새만금에서 다시 뛰는 군산 수산업, 글로벌 K-씨푸드 중심지로

스포츠일반테니스 ‘샛별’ 전일중 김서현, 2025 ITF 월드주니어테니스대회 4강 진출

오피니언[사설] 진안고원산림치유원, 콘텐츠 차별화 전략을

오피니언[사설] 자치단체 장애인 의무고용 시범 보여라

오피니언활동적 노년(액티브 시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