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 그리고 방사능 공포
일본 도후쿠 지역의 대지진과 쓰나미로 원자력 발전소가 큰 타격을 입어 안전성 문제가 심각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사회안전망 체제가 잘 돼 있다는 일본에서 이 같은 문제가 터지자 세계는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에 대해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원자력 발전의 불가피성을 여전히 주장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번주에는 원자력 발전과 방사능의 허와 실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다 함께 생각해보기>다>
▲원자력(atomic power)이란?
▲방사능(radioactivity)이란?
▲방사능의 위험성에 대해서 조사해 보자.
▲방사능오염(radioactive contamination) 이란?
▲방사능 대처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국내 방사선 수치의 정상범위는 어느 수준일까요?
▲피폭(被曝, radiation poisoning) 또는 방사능병(放射能病, radiation sickness) 혹은 급성방사선증후군(急性放射線症候群, acute radiation syndrome, ARS)이란?
▲원자폭탄과 원자로와 원자력 발전소의 차이와 원리는 무엇일까?
▲지구촌 원자로를 국가별로 세계지도에 표시해 봅시다.
▲한국과 일본과 러시아(체르노빌) 원전을 비교해 봅시다.
▲중국서 원전사고 난다면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 중국의 원자력 발전소 분포를 중국 지도에 표시해 봅시다.
▲방사능 피해를 우리 몸 부위별로 표시해 봅시다.
▲화석연료의 대체에너지로 원자력이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화석에너지와 태양광, 풍광 등 신재생 에너지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는 것에는 어떤 것이 있나?
▲최근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원전사고로 전세계적으로 원전 안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원전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원전중심의 국가에너지 계획을 대체할 수 있는 정책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써 보시오.
▲일본 원전사태가 세계 경제 및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논술하시오.
▲방사능 피폭 방호 대책의 3대 기본 요소는?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