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NIE] 망가지는 우리말

우리말 사랑, 연습이 필요하다

인터넷 용어의 무분별한 사용이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을 병들게 한다는 지적이 많이 있으면서도 마땅한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TV나 라디오의 각종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 연예인들은 이러한 유행어나 인터넷 용어를 모르면 시대에 뒤떨어진 한물 간 것처럼 여기는 경향이 있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저해한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말을 사랑하는 것도 반성만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따져보고 확인하여 더 좋은 우리말 표현이 무엇인지 연습이 필요하다.

 

▲ 인터넷 신조어의 쓰임 예시

 

우왕ㅋ굳ㅋ (일종의 감탄사로 아주 좋다는 뜻)

 

킹왕짱 ( 최고로 멋지다는 뜻)

 

듣보잡 (듣지도 보지도 못한 잡놈)

 

막장 (끝장의 변형된 표현. 갈 데까지 갔다는 뜻)

 

안습 (안구에 습기찬다, 눈물난다, 불쌍하다는 뜻)

 

고고씽 (영어의 GO(가다) 에서 파생. 가자, 시작하자의 뜻)

 

아놔 (짜증, 황당함의 표현)

 

지못미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해'의 줄임말)

 

님좀짱 (님(당신), 꽤 잘하는데!)

 

밀당 ('밀고 당기다'의 줄임말)

 

▲ 생각나누기

 

가요계 신조어

 

1. 다음의 빈칸에 아래 단어의 뜻을 적어보세요.

 

- 카활절

 

- 언빠

 

- 동부심

 

- 뱅부심

 

- 탱탄절

 

2. 가요계 신조어에 대한 여러분의 평가는 어떠한가? 긍정적인 면과 우려할 만한 점은 무엇인지 말해보세요.

 

▲ 그닥(?) 달갑지 않은 일

 

1. '그닥'의 의미는 무엇인지 말하고 어떻게 해서 생겨난 말이지 설명해보세요.

 

2. '그닥'처럼 언어의 경제성을 중시하는 통신언어의 장단점을 말해보세요.

 

3.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국어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 공익 앞세운 지상파 '막말방송'

 

1. 막말방송과 막장드라마에 대한 제제 건수가 증가하는 주원인은 무엇인가요?

 

2. 막말 등 나쁜 언어의 특징과 문제점은 무엇인지 말해보세요.

 

3. 막말 방송과 막장드라마의 증가가 가져다주는 문제점을 세 측면에서 정리해 발표해보세요.

 

-방송 제작자의 입장에서

 

-방송 출연진의 입장에서

 

-시청자의 입장에서

 

4. 방송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 구어체 그대로 글 쓰면 어색하죠.

 

1. 다음 고친 말을 읽어보고 이와 비슷하게 사용하는 경우를 우리의 생활 속에서 찾아 발표해보세요.

 

- 자리인데, 문제인데→ 자린데, 문젠데

 

- 넘 좋아 →'넘'은 '너무'로 수정해야 하지만, '너무'는 긍정적인 말보다는 부정적인 말과 더 잘 어울린다. 따라서 '너무 좋아' 보다는 '정말 좋아'나 '진짜 좋아'로 수정되는 것이 알맞다. )

 

2. 다음 문장을 바르게 고쳐주세요.

 

- 니가 대책을 안세우고 직장을 관두면 나더러 어케 하란 말이야.

 

- 넘 좋은 자린데 글로 갈 건지 결정을 못했다.

 

4. 다음 글을 접속어와 서술어 등 반복되는 용어를 수정하여 읽기 편하게 정리해 보세요.

 

그는 NIE 수업이 학생들의 논리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NIE 수업에 꾸준히 참여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또한 부모의 지속적 관심이 학생의 NIE 활동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나는 앞으로 열심히 참여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신문과 더 친해져야겠다고 생각한다. 신문은 참 좋은 친구라고 생각한다.

 

▲ 우리말 제대로 알기

 

1. 국어문화원 홈페이지 주소를 찾아보고 제공하는 정보의 내용을 살펴보세요.

 

2. 국어능력인증시험에는 어떤 내용들이 출제되는지 살펴보세요.

 

3. 방송에서 우리말과 관련된 프로그램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세요.

 

▲ 표준어와 방언

 

1. 우리나라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서울말 역시 넓은 의미에서 지역 방언에 해당합니다. 또한 제주어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방언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표준어와 방언에 특징에 대하여 설명해 보세요.

 

2. 지역 방언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알아보세요.

 

▲ 국격 갉아먹는 통ㆍ번역 오류

 

1. 얼마전 FTA 체결과 관련한 번역 오류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습니다. 그 원인을 알아보세요.

 

2. 현대를 사는 우리는 세계화의 흐름 속에 살고 있습니 이러한 사회배경을 바탕으로 모국어와 외국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보세요.

 

3. 자신은 모국어와 외국어 중에 무엇에 더 중점을 두고 공부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고, 나의 자녀에게 모국어와 외국어 중 무엇을 더 소중히 여겨야 할지 발표해보세요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올해 100대 기업 여성임원 476명 역대 최다…전체 임원 중 6.5%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

군산“군산에 오면, 미래 체육을 만난다”

전주전주시의회, 18~26일 행감…시민 제보 접수

정읍정읍 바이오매스발전소 건립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