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17:20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교육 chevron_right 교육일반
일반기사

[NIE] K-Pop열풍

한류, 유럽 공략…한국문화로 세계가 눈 돌렸다

지난 8일 오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샤를드골공항에 'SM타운 라이브 월드투어' 공연차 프랑스를 방문하는 SM엔터테이먼트 소속 동방신기와 샤이니, 에프엑스 등 한류스타들 맞이 하기 위한 한류팬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한류팬들이 입국장에 들어서는 한류스타들을 찍고 있다. (desk@jjan.kr)

한류열풍이 아시아를 넘어 유럽 등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얼마전 프랑스에서는 한국 아이돌 그룹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다고 합니다.

 

이같은 K-Pop 열풍의 배경과 의미,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등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1. 한국의 아이돌 그룹이 프랑스에서 인기있는 이유는 뭐라고 할 수 있을까요?

 

첫째, 한국의 아이돌그룹은 외모+춤+실력을 모두 갖췄다. 피부색과 감성은 다르지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둘째, 노래가 한국적 취향을 앞세우지 않고 여러 해외 작곡가들과의 공동 작업을 시도했다. 예로 소녀시대의 '런 데빌 런'은 미국의 busbee와 영국의 Alex James, 스웨덴 출신의 Kalle Engstrom의 작품이다. 또한 YG엔터테인먼트의 2NE1도 블랙아이드피스의 윌아이엠과 공동작업을 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셋째, 유투브, 아이튠즈 등의 디지털 미디어와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확산이 지대한 역할을 했다.

 

넷째, 한국 아이돌 그룹의 뮤직비디오와 공연 영상들이 인터넷의 각 채널들을 통해 빠르게 전파됐고, 시공을 넘나들며 보여지는 세계의 관심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됐다.

 

프랑스의 유력일간지인 '르몽드'와 '르피가로'가 한류 소식으로 헤드라인을 장식하며 한류를 향해 혁명적이라는 표현을 쓰기까지 했다고 한다. '유럽을 덮친 한류'라는 머리기사를 달아 아시아을 점령한 한류가 유럽을 공략하고 있다면서 유럽팬들은 파리 공연에 흠뻑 빠질 것이라는 자세한 기사를 보도한 것은 물론 KPOP은 한국을 세계에 알릴 방법이라 소개하고 이제는 대중음악을 한국의 수출품으로 만들어 냈다며 극찬했다고 한다.

 

2. 국내 학자가 본 프랑스 한류 열풍 까닭은?

 

조재룡 고려대 불문과 교수 "프랑스는 기본적으로 인텔리의 나라라 중산층이 느끼는 소외감이 있다. 고급 예술 지향적인 프랑스 내에서 중산층에게 활력소 같은 존재로 다가섰기 때문"

 

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프랑스 사회가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다문화 사회가 되면서 고급예술이 아닌 대중예술에 대한 수요가 커졌다. 영화가 머리로 받아들이는 반면 음악은 몸으로 느끼는 것이기에 이들에게 더 강렬하게 다가선것 같다."

 

3. 내가 추천하는 인가가요 Best Top 10을 만들어 보자.

 

4. 프랑스에 이어 9월 11일 열리는 제2회 중남미 K팝 경연대회는 어디에서 열리나요?

 

-아르헨티나

 

5. K팝이 빠르게 확산되는 까닭은 어디에 있다고 보나요?

 

-유튜브나 페이스북을 통해

 

6. 유럽의 대표적 음반 퍼블리셔에서 "공연을 보며 영국에서 비틀스 공연에 열광하는 팬들을 연상했다"고 말했다. 유럽의 대표적 음반 퍼블리셔는 어딜까요?

 

-윌리 모리슨

 

7. 음악이 '만국 공통어'라는 주제로 800자 이내로 자기의 의견을 서술해 봅시다.

 

8. 이번 영국, 프랑스 등 유럽 공연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나요?

 

글로벌 시스템과 외국 작곡가, 안무가, 가수들의 비주얼이 잘 어울렸다. 유튜브와 소셜 네트워크의 힘이 컸던 것 같다.

 

9. SM엔터테인먼트 이수만 회장이 말하는 '한류 3단계 발전론'은?

 

-한국의 문화상품을 소개하는 1단계,

 

-현지 회사 또는 연예인과 합작하는 2단계

 

-한국의 CT를 전수하는 3단계

 

10. 문화에서 made by를 많이 사용하는데 made in과 made by의 차이점을 나름대로 기술해 보시오.

 

원산지를 가리키는 '메이드 인(made in)'

 

-누가 만들었는가를 뜻하는 '메이드 바이(made by)'

 

11. K팝 공연을 늘려달라며 프랑스에서 시위가 벌어졌는데 어디에서 였나요?

 

-루브르궁 앞

 

12. 한국의 5개 K팝 그룹은 프랑스 어느 공연장에서 성황리에 공연을 했나요?

 

-파리 제니트 공연장

 

13. 한국 문화가 유럽에 진입하는데 교두보 역할을 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영화(2000년 이후 칸 영화제를 시작으로)-드라마-가요-소셜 네트워크-유트브 등 SNS통해 팬덤까지 형성)

 

14. 한류가 본격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할 일은?

 

-거대자본과 철저한 경쟁, 그리고 상품화에 대한 전문성이 그 밑바탕에 깔려있어야

 

15. '한류 스타와 함께하고 싶은 사람과 여행하고 싶은 곳'의 앙케이트 결과는 어떻게 나왔을까?

 

-서울과 제주도

 

16. 한류 '스타와 같이 하고 싶은 활동'으로는?

 

-콘서트나 방송 촬영현장 참관 외에도 관광명소 여행, 전통문화 체험

 

17.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회장은 음악 팬들 사이에서 호오(好惡)가 갈리는 인물이다. 호오(好惡)를 나누어 설명해 보자.

 

-'양질의 아이돌 팝으로 가요의 외연을 동아시아까지 확장했다'

 

-'철저하게 만들어진 아이돌로 가요 시장을 획일화시켰다'는 시각이 공존한다.

 

18. K팝(한국 대중음악)의 산업 규모는 어느정도일까?

 

-로버트 바키시 비아콤인터내셔널미디어 대표의 방한으로 알아보면 "K팝(한국 대중음악)은 세계적으로 10억달러(1조1000억원) 규모의 거대한 산업이 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