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명소 자리매김 성과…급속한 상업화는 아쉬움"
전주한옥마을이 전통문화구역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한지 10년이 지나면서 관광객 350만 시대를 맞는 등 도시형 문화관광지로 자리잡고 있으나 상업시설과 비주거시설이 많아지면서 주거공동화및 야간 공동화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문화포럼 이공(대표 김동영)이 28일 오후 7시 전주한옥생활체험관에서 개최한 '한옥마을 10년, 얻은것과 잃은것'을 주제로 한 포럼에서 김남규 전주시의원(문화경제위)은 "조사결과 10년동안 약 139건의 건축물이 없어졌다"며 "급속한 상업화는 마을의 주거변화와 공동화를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지축제·비빔밥 축제·소리축제 등이 열리는 등 한옥마을은 축제 명소로 확고히 자리잡았고, 특히 관광객이 2002년 30여만명에서 지난해에 350만명으로 부쩍 늘었다. 지난해 제2회 대한민국 한류대상과 국제슬로시티로 지정되는 등 한옥마을의 성가는 날로 높아졌다.
하지만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듯 상업시설 집중화, 부동산의 고공행진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지적이다. 2000년 이전까지만 해도 19개에 불과하던 일반음식점과 휴게음식점이 64개나 늘어나 현재 83개에 달한다.
상업시설, 문화시설, 민간문화시설 등 비주거시설이 30%에 육박하고 있다. 주거비율은 88.4%에서 70.9%로 감소한 반면, 상업시설은 4.5%에서 13.2%로 늘었다. 김 의원은 "상업시설과 비주거시설이 많아지면 마을공간이 변질되고 결국, 주거공동화와 야간공동화 현상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한옥마을은 주민들이 만들어가는 슬로시티인데 전주시는 인증과 홍보에만 치중하고 있다"면서 "부채박물관 앞 굴뚝, 진봉쌀집, 오일주장 등 사라지는 생활사 공간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10년 동안 너무 많은 사업이 이뤄지면서 한옥마을은 집중화됐고, 결국 전주시의 정책이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됐다는 분석도 내놨다.
김 의원은 대안으로 전주시 전반의 공간 변화와 각종 정책의 계열화, 포스트(Post) 한옥마을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