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교사 교장급 전직 임용엔 72%가 부정적
전북지역 교원의 절반 이상이 도교육청의 인사정책을 신뢰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9월1일자 정기인사에서 평교사를 교장급인 교육연구관으로 전직 임용한 것에 대해 절대 다수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도의회 유기태 교육위원이 지난 16일부터 12일간 도내 302명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21%인 64명만이 김승환 교육감 취임후 교원인사정책에 대해 신뢰를 보냈고, 51%인 154명은 불신을 드러냈다.
같은 설문조사에서 지난 1일자 평교사를 교장급인 교육연구관으로 전직임용 발령한 것과 관련, 응답자의 72%가 잘못된 인사라고 응답했다. 잘한 인사라는 응답은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다른 교육전문직과의 형평성이나 학교 현장 교원의 정서에 정면 배치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교육연구관으로 전직 임용발령에 관한 평가는 특히 교장과 교감 등 직급이 높고 연령이 많을 수록 상대적으로 더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평교사의 교육연구관 전직 임용에 대해 교원들의 평가가 이처럼 부정적인 것과 관련, 유 위원은 △특정교사를 위한 전형적인 위인설관(정책연구소 기구신설)이라는 점 △특정 단체 중심의 측근인사에 파격적인 특혜 △인사위원회와 인사심사위원회 심의때 논의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 대한 불투명성을 지적했다.
이와함께 특정인의 교육연구관 임용을 위해 중등인사관리규정을 개정하면서 사전 예고를 통해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함에도 입법예고 조차 안했으며, 전체 교원을 대상으로 사전모집절차 등을 거치지 않고 특정인을 지정한 것도 문제라고 주장했다. 실제 중등교원인사관리기준이 개정된 것에 대한 교원들의 49%가 모른다고 응답했으며, 안다는 응답자는 26%에 머물렀다.
유 의원은 "김 교육감 취임 이후 인사관리규정의 무시와 임용절차의 부당, 특정단체 중심의 측근 인사 챙기기 등 일련의 잘못된 인사정책 때문에 설문조사와 같은 불신이 드러났다"고 해석했다.
유 위원은 28일 열린 도의회 본회의 긴급현안 질문을 통해 "인사의 특혜시비·공정성·투명성 시비는 심각한 수준으로 도를 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인사특위를 구성하는 방안까지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