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지역축제의 허와 실 - 지역발전 토대 vs 지역낙후 요인

▲ 지난해 열린 전주국제영화제 야외공연행사 전북일보 자료사진

■ 주제 다가서기

 

4월 26일부터 5월 4일까지 전주국제영화제가 한국소리문화의 전당과 고사동 영화의 거리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13번째 생일을 맞이한 전주국제영화제는 '우리들만의 잔치'로 끝날 수 있다는 주변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해가 거듭할수록 내실있는 영화제로서 자리잡아가고 있다. 지역축제의 여러 가지 여건상 막대한 외자를 유치하여 운영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취약성을 감안할 때 전주국제영화제 같은 경우는 매우 이례적인 축제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잘 운영되고 있는 모범적인 지방축제로 함평나비축제 등이 있다. 반면 허울만 그럴듯한 부실 덩어리 지방축제들도 적지 않아 세금만 낭비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본격적인 축제 시즌이 시작되는 4월 마지막주에 '지방축제의 허와 실'에 대해 고민해보고 성공적인 지방축제운영으로 가는 길에 대한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관련 단원

 

◇ 6학년-1학기-사회-1. 우리국토의 모습의 생활-우리나라의 산업과 교통

 

◇ 6학년-1학기-사회-3. 환경을 생각하는 국토 가꾸기-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

 

◇ 6학년-도덕-3. 우리 함께 지켜요- 우리가 지켜야 할 것들

 

◇ 6학년-1학기-국어-듣기·말하기·듣기-기행문의 특성 알기

 

◇ 6학년-미술-2. 자연 환경과 미술-자연을 느끼고 표현하기

■ 신문 읽기

 

 

△자료 1 : 지방축제 찬성

 

〈출처: 내일신문 : 2012년 4월 10일〉

 

 

△자료 2 : 지방축제 반대

 

〈출처 : 광주일보 : 2012년 4월19일〉

 

■ 생각 열기

△ 〈자료 1〉을 읽고, 서울 광진구청이 재정난을 겪고 있는 이유를 찾아 정리해보세요.

△ 〈자료 1〉을 읽고, 서울 광진구청이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한 방법이 무엇인지 정리해보세요.

△ 〈자료 2〉를 읽고, 필자가 '강진 청자축제'와 '담양 대나무축제'의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을 찾고, 그 근거도 서술하시오.

△ 〈자료 1〉과 〈자료 2〉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지역축제를 성공으로 이끄는 방법이 무엇인지 정리하세요.

 

■ 생각 키우기

 

 

△ 2012년 4월~5월 전라북도의 대표적인 지역축제는 무엇이 있을까요?

〈자료 출처 : 전라북도청 전라북도 방문의해 홍보 싸이트〉

 

 

△ 세계인을 몰려들게 만드는 다른 나라의 지역축제는 무엇이 있을까요?

 

■ 생각 더하기

△ 평화시는 인구 2만의 매우 작은 군단위 고장입니다. 이 지역은 만 60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30%를 넘고, 다문화 가정이 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내가 만약 평화시의 시장이라면 어떤 지역축제를 기획하고 추진할 것인지 기획서를 만들어 보세요.(지역특성, 목적, 일시, 기대효과 등 자유롭게 기술하되 원고지 600자 내외)

 

〈예시 답안〉

 

평화시 실버 레인보우 페스티벌

 

- 노인과 다문화 그리고 농촌의 오색 무지개 -

 

 

- 일시 : 2012. 5월 5일~5월 8일

 

- 장소 : 평화시 일원

 

- 목적 : 노인 친화적 농촌 문화 여건 마련 및 다문화 가정 상호 이해 프로그램 마련

 

- 프로그램

 

☞ 할아버지, 할머니가 들려주는 우리 고장 이야기

 

: 초등학생 이하 아이들에게 평화시에 전해 내려오는 설화 들려주는 프로그램

 

☞ 다문화 가정 어머니가 들려주는 다른 나라 이야기

 

: 다문화 가정 어머니께서 초등학생 이상 중학생 이하 학생들에게 고국의 문화 이야기 들려주기

 

☞ 전통 방식으로 전래 음식 만들기

 

: 인스턴트 음식 대신 전통 방식으로 우리 음식 만들어 나누기

 

☞ 평화시의 얼굴들

 

: 노인들과 다문화 가족을 중심으로 사진 페스티벌

 

☞ 어르신 예술제

 

: 향수가 묻어나는 노래나 책, 그림 등을 공연 형태로 형상화 하여 전시 및 공연

 

☞ 천연 자연산물 장터

 

: 청정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건강식 판매

 

-기대효과 : 공연 및 상품 판매 등으로 수익을 올리고, 옛 향수를 자극하여 현대인들이 쉴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제공하고, 지역민들이 활기차게 생활할 수 있는 동기 제공

 

-연락처 : OOO - OOOO

 

 

■ 용어 정리

 

△ 지역자치단체

 

:국가 아래에서 국가영토의 일부를 구성요소로 하고 그 구역 안의 주민을 법률이 정하는 범위 안에서 지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단체.

 

[출처] 지방자치단체 [地方自治團體 ] /네이버 백과사전

 

△ 부가가치

 

개개의 기업 또는 산업이 생산과정에서 새로이 부가(附加)한 가치.

 

[출처] 부가가치 [附加價値, value added ] /네이버 백과사전

 

△ 지역방문의 해

 

지역방문의 해(地域訪問-)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01년 '한국방문의 해'를 시작으로 2004년부터 매년 한 지역씩 선정하고 있는 지역 관광 활성화 사업이다.

 

[출처] 지역방문의 해(地域訪問-) /위키백과

 

※ '2012년도는 전라북도 방문의 해'입니다.

 

■ 관련도서 

 

 

△제목:둥글둥글 지구촌 축제 이야기

△지은이:정인수(글), 유남영(그림)

△출판사: 풀빛

△내용:세계 곳곳에서 열리는 다양한 축제 소개

 

 

△제목:한국의 지역축제

△지은이:김흥우

△출판사:지성의 샘

△내용:잘 알려지지 않은 우리나라의 지역 축제들을 살펴볼 수 있다.

 

 

■ 학생글

△찬성

 

 

각 지역마다 그 지역만의 특색이 있으며, 경제 발전이 잘 되는 지역도 있고, 그렇지 못 한 경우도 있습니다.

경제가 제대로 발전이 되지 못 한 지역에서는 그 지역의 특색을 잘 찾아보고 그에 걸맞는 축제를 개발하여 개최함으로써 다양한 경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발전을 이룬 지역이라 하더라도 그 지역의 다양함을 홍보하기 위해서 축제를 개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이렇듯 지역 축제는 올바르게 준비만 한다면 각 지역에 경제적 효과 및 홍보의 효과를 충분히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지역 축제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박수민(군산서초 5학년)

 

△반대

 

 

저는 지역 축제의 무분별한 개최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야 한다고 봅니다.

지역의 특색 있는 축제를 개최하는 것은 좋지만, 축제에 대해 충분히 사람들에게 알리지 않아 축제 개최 여부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서 축제의 성공을 장담하지 못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축제 개최를 통해 경제적인 이익, 지역의 홍보 등 얻고자 했던 것들을 기대만큼 얻기는커녕, 축제 개최를 위해 들어가는 손실이 더 많아질 것이고, 결국 그 부담은 축제 개최 해당 지역 주민들이 떠안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축제를 개최하기 전에 충분한 사전 조사와 준비,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축제는 열어야할지 말지부터 다시 한 번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김채원(군산서초 6학년)

구대식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