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국립전주박물관 학예연구사
인류 역사를 고고학적으로 구분하면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로 나눌 수 있다. 오늘날까지도 철이 없는 세상은 상상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여전히 철기시대에 살고 있다. 철기를 쓰기 전에는 구리에 주석을 섞어 청동기를 제작했다. 기계적 강도가 월등한 철보다 구리를 먼저 사용했던 이유는 녹는 온도가 훨씬 낮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는 초기철기시대라는 시대 구분이 있다. 대략 기원전 3~4세기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의 기간을 이른다. 철기가 처음으로 일선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아름답고 정형화된 청동기가 만들어졌던 시기이기도 하다.
전라북도에서 알려진 초기철기시대의 유적들은 대개 금강과 만경강의 지류를 낀 서부의 넓은 평야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전북 동부 산간지대에도 주목할 만한 유적이 있다. 기원전 2세기 무렵에 형성되었던 장수 남양리 유적이다.
1989년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남양리에서 초기철기시대의 유물들이 수습되었다. 문화재 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동부지역에서 초기철기시대 유적의 존재를 감지한 순간이었다. 1996년 말부터 남양리 일대에서 이루어진 경지정리사업 중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일부 노출되자 학술조사에 대한 요구는 더욱 커졌고, 마침내 1997년 전북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두 차례에 걸친 문화재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남양리 유적은 금강으로 흘러드는 크지 않은 지류를 따라 펼쳐진 평지에 위치했다. 같은 시기 다른 지역의 무덤들이 보통 낮은 언덕 위에 모여 있었던 것에 비한다면 꽤 독특한 장지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다. 모래밭과 강자갈이 넓게 펼쳐진 이곳에서 5기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땅을 깊게 파고 벽면을 따라 강자갈을 벽돌처럼 돌린 구조였다. 부식되어 남아있지는 않았지만 그 안쪽에 시신을 안치한 목관이 들어갔을 것이다.
출토된 유물은 검은간토기나 덧띠토기와 같은 그릇들을 포함하여 청동제 잔무늬거울 및 한국식동검과 창), 그리고 철제도끼 등이다. 초기철기시대의 대표적 청동제품인 잔무늬거울과 한국식동검이 4호 무덤에서 함께 나왔다. 특히 잔무늬거울의 뒷면에는 기하학적인 톱니무늬(鋸齒文)와 문살무늬(格子文)가 남아있어 가장 늦은 시기의 형식으로 보인다. 또한 3개의 손잡이가 달려있는 점도 흔하지 않은 특징이다. 철제도끼는 앞에서 보면 사각형이지만 옆면에서 보면 납작한 삼각형으로서, 초기철기시대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당시는 철기보다 청동기가 많이 쓰인 시기였다. 제작에 투입됐을 인력과 재화로 보아 청동기는 아무나 쉽게 가질 수 있는 물건이 아니었을 것이다. 따라서 청동기를 지배자의 소유물로 이해하곤 한다. 그런데 중국 동북지역으로부터 바닷길과 서북한 지역을 통해 철기문화가 전파되기 시작했다. 쉽게 깨지는 게 흠이었던 청동기에 비해 강도가 뛰어났다. 처음에는 도끼와 같은 철제 농공구가 사용되어 농업생산력을 향상시켰을 것이다. 하지만 무기로서의 가능성도 곧바로 발견했다. 게다가 철광산이 속속 개발되고 제작 기술이 발달하면서 곳곳에서 철기를 자체생산하기 시작했다. 청동기의 역할은 점차 의례행위와 신분의 상징물로 축소되었고 실용기의 자리를 온갖 철제품들이 차지했다. 또한 기존의 구리나 주석을 대신하여 철 소재나 완제품이 교역품으로 각광 받았을 것이다. 장수 남양리 출토품에서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에 직면했을 사람들의 흥분과 긴장을 느낄 수 있는 이유이다.
기원전 2세기 무렵 장수 남양리 유적에 묻혔던 지배자는 자신 앞에 철제 도끼를 내려놓고 어떤 생각을 했을까. 청동제 칼과 철제 도끼를 맞부딪혀 보며 감탄하지는 않았을까. 어쩌면 철이 지배할 새로운 시대를 예감하며 전율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