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4:10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지독한 병마와 싸우며 마지막까지 후학 사랑"

故 서용석 대금산조 명인 기리는 애도 물결

▲ 18일 전주모악장례문화원에 마련된 故 서용석 대금산조 명인의 빈소에서 그의 제자인 심상남 국립남도국악원 예술감독이 조문하고 있다.

제1회 전주대사습놀이 장원(1977), KBS국악대상(1982), 전북예술상(2008), 국립국악원 예술감독, 중요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예능보유자 후보. 지난 17일 향년 73세로 별세한 故 서용석 대금산조 명인이 생전에 남긴 업적들이다.

 

하지만 고인이 떠난 자리에는 업적을 기억하는 이보다 그가 남긴 산조 소리를 그리워하는 이들이 더 많았다. 생을 마감하기 직전까지 창작열을 불태우던 그의 모습을 말이다.

 

18일 전주모악장례식장에서 대금산조가 구슬프게 울리고 있는 가운데 그의 애제자였던 심상남(58·국립남도국악원 예술감독)씨는 이틀째 빈소 앞을 떠나지 않고 있었다. 38년 동안 그의 곁을 지켜온 심씨는 이날도 고인이 남긴 산조소리를 읊조렸다.

 

"선생님께서 1996년 국립국악원 민속반 음악감독을 하던 시절 갑자기 뇌출혈로 쓰러졌습니다. 8개월간의 사투 끝에 겨우 병상을 나설 수 있었지만 이미 몸의 절반은 쓸 수가 없었고 한 손으로 북을 치며 구음을 통해 후배 국악인들을 지도하는 데 온 힘을 기울였습니다"

 

남원과 전주에서 병마와 싸우며 후학을 양성하는 모습을 바로 옆에서 지켜본 미망인 최산옥씨도 남편의 마지막 길은 애틋한 기억으로 남았다. 최씨는 "심장이 굳어가는 병과 싸우면서도 돌아가시기 직전까지 구음을 하며 만든 태평소 산조를 셋째 아들에게 사사했다"며 "건강을 생각해 창작활동을 만류했지만 남편의 의지를 꺾지 못했다"고 말했다.

 

마지막 제자인 김상연(37·국립국악원 창작악단)씨의 감회는 남달랐다. 중학생 시절부터 고인과 인연을 맺어온 김씨는 그를 아버지라고 불렀다. 김씨는 지난 1997년 '서용석류' 산조 연주로 대통령상을 받았을때 고인이 참석하지 못한 순간이 가장 아쉬웠다고. 김씨는 "지난 2008년 서울에서 '서용석류' 대금산조 전바탕을 연주했을때 전주에 살고 있던 선생님이 불편한 몸을 이끌고 무대에 올라 격려를 해준 순간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고 추억했다.

 

끝내 고인이 중요무형문화재에 오르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는 이도 있었다.

 

최조병(52·국립국악원 정악단)씨는 "선생님은 몸이 불편해진 뒤에도 창작열을 불태워 대금산조 해금산조 피리산조 태평소산조 등 엄청난 유산을 남겼다. 하지만 몸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중요무형문화재에 오르지 못한 '비운의 천재'로 남게 됐다"고 말했다.

 

고인은 떠났지만 그가 남긴 소리는 수백 명에 이르는 제자들을 통해 들을 수 있게 됐다. 이날 장례식에 참석한 고인의 제자들이 내년 3월17일 추모 1주기를 맞아 고인을 기리는 연주회를 열기로 뜻을 모았기 때문이다.

 

심상남씨는 "선생님의 소리는 악보로 기억되기보다는 우리들의 머리와 가슴속에 살아있다"며 "가락이 묵직하고 굴곡이 적어 선비같은 기품이 깃든'서용석류'산조는 후배들의 입을 통해 영원히 전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남 곡성 출신인 故 서용석 대금산조 명인은 지난 1996년 남원에 정착해 후학들을 양성하다 2005년 전주로 거처를 옮긴 뒤 작고 직전까지 창작활동에 매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