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동계U대회 맞춰 조기 개통 곳곳 위법 / 박민수 의원 금감원 자료 분석 "선형개선 절실"
전주~진안간 국도 26호선이 '마의 구간'으로 지목된 이유가 담긴 자료가 공개됐다.
국도 26호선은 1997년 전주·무주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최에 맞춰 조기 개통되면서 안전운행에 대한 충분한 고려없이 능선을 따라 조급하게 4차선으로 개설됐다.
이 때문에 소태정재 구간은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끊이지 않아 귀중한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상 피해가 잇따라 도로 선형개량의 시급성이 제기돼왔다.
진안군은 국토해양부에 관련 도로선형 개선사업을 수차례 요구했고, 그 결과 지난 2010년 말 위험지구 개선사업에 보룡재가 포함됐다. 하지만 우선 순위에서 밀리고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소태정재 선형개선사업은 차일피일 미뤄지는 진통을 겪었다.
이런 상황속에서 민주당 박민수 의원(무진장·임실 지역구)이 적극적으로 나서 소태정재의 개선을 위한 국가 예산을 확보하고 지난 4월부터 타당성 조사가 다시 시작됐다. 그 이면에는 소태정재가 위험도로가 아닌 위법도로라는 사실이 자리잡고 있다.
실제로 이 도로는 최소 평면 곡선변경에 위반되는 구간이 6군데에 이르고, 최급 종단 경사 위배구간이 2군데에 걸쳐 400m에 달하고 있다.
박 의원이 최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보험처리 현황자료에 따르면 국도 26호선 완주군 소양면과 진안군 부귀면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총 3620건이다.
사망자가 발생한 사고는 26건, 부상자가 발생한 사고는 1763건에 달한다. 연평균 약 905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한 셈이며, 연평균 사망사고는 6건, 부상사고는 440건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로 보면 2010년이 965건(사망 8건)으로 가장 많고, 유형별로는 지난 4년간 차 단독사고가 1801건으로 제일 높았다. 이로 인해 4년간 지급된 보험금만도 130억8600만원으로, 매년 평균 32억 7150만원에 달했다.
박 의원은 "교통사고의 발생건수로만 보아도 국도 26호선 소태정 구간이 얼마나 위험하고, 이로 인한 물적·인적 손해가 얼마나 심각한가를 알 수 있다"며 "위법하게 시공된 소태정 구간의 개선이 절실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