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교육 선거쟁점 진단 ① 청렴문화 안착] 김 교육감, 깨끗한 교육문화 조성 기여

전북형 혁신학교, 공교육 희망모델로 평가 / 학생인권조례, 교권 사각지대 잡음 속 정착

오는 6월 교육감 선거에서 김승환 교육감은 상수(常數)다. 김 교육감은 오는 22일 북콘서트를 기점으로 재선출마를 공식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역 프리미엄을 앞세워 교육감 선거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번 교육감 선거는 ‘일 대 다(多)’의 구도를 이어가면서 김승환 교육감을 제외한 나머지 후보들이 교육감의 지난 4년에 대해 파상공세를 펼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에 본보는 세 차례에 걸쳐 김승환 호(號)의 공과(功過)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선거쟁점도 가늠해본다.

 

#1. 젊은 교사들의 크고 작은 모임에서 심심치 않게 교육감 선거가 거론되고 있다. 입지자들에 대한 하마평, 김승환 교육감과 지금은 도망자 신세가 된 최규호 전 교육감을 비교하는 이야기 등이 오고 간다. 오랜 이야기 끝에 교사들은 “김승환 교육감이 기대에 미치진 못했지만, 돈과 인간관계로 자리를 꿰차던 이전으로 돌아가고 싶진 않다”고 입을 모은다. 청렴한 교단을 만든 김 교육감에 관한 공은 누구든 수긍하게 만든다.

 

#2. 혁신학교운영위의 한 관계자는 “혁신학교 재지정을 검토하기 위해 현장조사에 나갔을 때 학부모들이 펑펑 우는 통에 정말 당황했다”고 토로했다.

 

“혁신학교를 재지정해주지 않으면 이사가겠다”는 학부모가 있었을 만큼 혁신학교는 학생·학부모들에게 공교육 희망 모델로 간주되고 있다. “아이들이 학교에 가고 싶어 한다”, “눈빛부터가 달라졌다”는 학부모·교사의 반응도 들려온다.

 

김승환 교육감만큼 공과(功過)가 분명한 교육감도 드물다. 각 현안마다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해왔기에 강점과 약점이 확연히 드러난다. 결과적으로 얻은 것도 많지만, 잃은 것도 많다는 이야기다.

 

김 교육감의 최대 업적은 깨끗하고 투명한 교육계를 일궜다는 점이다. 지난해 3월 당시 행정국장이 뇌물수수죄로 징역형이 선고되는 악재가 있었지만, 전북교육청은 국민권익위의 2012~2013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결과 3~4위를 차지하는 영예를 안았다. “매관매직이 성행하던 최규호 체제와 달리 실력만으로도 승진할 수 있게 됐다”며 만족감을 나타내는 교사들 이면에 각종 비리로 얼룩진 전임 교육감의 후광효과인 측면도 강하다.

 

‘혁신학교를 넘어 학교의 혁신으로’라는 슬로건처럼 101곳 전북형 혁신학교의 실험은 현재진행형이다. 김 교육감이 “혁신학교의 방향은 잘 잡았다”는 평가가 우세하고, “지금의 입시 위주 현실과 괴리가 나지 않는 중장기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조언도 뒤따른다. 우여곡절 끝에 통과된 학생인권조례 역시 김 교육감이 강조한 인권 감수성을 재확인한 업적 중 하나다. 체벌 금지, 복장·두발 개성 존중, 소지품 검사 최소화부터 일부 고교의 반발을 일으킨 야간자율학습·보충수업 강요 금지 등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는 학생인권조례는 정작 교권은 사각지대로 내몰았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진일보한 성과로 부각되고 있다.

관련기사 전북 교육 선거쟁점 진단 ② 김승환호 시행착오는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애향본부, ‘전북애향상’ 후보자 21일까지 접수

사건·사고남원 교차로서 사륜 오토바이와 SUV 충돌⋯90대 노인 숨져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