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통 자치단체장 선거에 관심 집중 / 非 김승환 진영 후보 단일화 절대적
오는 6월 교육감 선거는 다른 자치단체장 선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낮다.
2조5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운영하는 전북 교육계의 수장을 선출하는 데도 불구하고, 도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정책이 부각되지 않는 탓에 관심이 확연히 떨어진다.
앞서 교육감 직선제가 처음 도입된 2010년에도 교사들 중에서도 교육감 선거를 모르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이로 인해 ‘교육감 선거=깜깜이 선거’라는 오명을 안게 됐다. 당시 후보자들은 공약집 대신 명함 돌리기 등을 통해 얼굴 알리는 일에 집중했을 정도다.
이번 교육감 선거도 아직까지는 유권자들의 관심에서 비껴나 있다. 안철수 신당과 민주당의 합당 여파로 도지사후보 경선이 늦어지는 등 자치단체장 선거에 온통 관심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교육감 선거는 ‘정책불문 공약불문’이라거나 ‘얼굴만 보고 뽑는 선거로 전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더욱이 교육감 선거는 광역·기초 단체장, 의원, 비례대표 등 정치 선거와 함께 치러지면서 ‘1인 7표제’로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데다, 교육감 후보들까지 난립되면서 예비후보들의 인물 파악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한 교육계 인사는 “각 선거당 후보가 4명씩만 잡아도 유권자는 후보 28명의 이름과 정책 등을 알고 투표해야 한다”면서 “이것은 교육감 후보를 제대로 파악하기는 어렵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특히 올해는 추첨만 잘하면 당선되는 ‘로또 선거’를 막기 위해 기초의원 선거구 단위로 투표용지를 달리해 후보자들의 이름을 번갈아 적는 ‘교호순번제’가 도입됐지만 ‘묻지마 선거’를 막기에는 다소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현 교육감과 다수의 입지자들이 맞서는 현 구도를 깨뜨리지 않는다면 유권자들의 교육감 선거 외면은 심화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한다.
한 예비후보측 관계자는 “지역사회에서 교육감 선거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것도 모자라 후보가 많다는 것 역시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하루 평균 12시간 이상 강행군하고 있지만 관심을 못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다른 교육계 인사는 “후보들 각각이 정책대결을 한다고 해도 유권자들의 관심을 끄는 데 한계가 있고, 정당과의 연대를 확보할 방법도 없는 상황에서 이름이 널리 알려진 후보들이 유리할 수 있다”면서 “비(非) 김승환 진영이 후보 단일화를 이루고 파괴력 있는 이슈를 제기할 때 유권자들의 관심을 되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끝〉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