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와 다툼을 벌이다 스스로 교실에서 뛰어내렸던 전주 A중학교의 B군(15)이 숨을 거뒀다.
B군은 지난달 25일 친구에게 뺨을 맞고 우발적으로 4층 교실에서 뛰어내려 혼수상태에 빠졌다가 지난 5일 결국 숨졌다.
이처럼 학교폭력 등으로 희생되는 학생이 생겨나고 있지만 이에 관한 교육부·전북교육청의 대책은 뒷걸음질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전주덕진경찰서 등에 따르면 B군은 앞서 다른 친구의 폭력에도 노출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B군은 지난해 11월 인근 중학교에서 전학 온 학생으로 지난해 각 지역교육지원청 산하 위기 청소년 상담기구인 위센터에서 상담을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전북교육청은 올해 예산 부담을 이유로 학교 현장에 배치했던 계약직인 위클래스 전문상담사 116명 중 23명만 무기계약직으로 재계약할 예정이다. 학교에서 갈급하게 요구되는 전문상담교사 부족난에 위클래스 전문상담사의 공백까지 겹쳐 학교폭력을 둘러싼 현장의 대응이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전북지역 학교폭력 건수는 올해 상반기 5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2건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통계 수치와는 달리 피해 학생이 보복 등을 두려워해 부모와 교사에게 알리지 못하는 등 학교폭력에 적극 대처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는 점에서 학교폭력의 심각성은 계속된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정부·교육청의 정책은 겉돌아 학부모들의 불안감은 높아지고 있다.
학부모 김모씨(42·전주 평화동)는 “대부분 학교에 폭력 신고센터가 있지만 신고는 거의 없다. 학생 사이에서 ‘말해도 달라지지 않는다’는 불신이 팽배하기 때문”이라면서 “학교가 나서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 도입된 학교전담경찰관제도(SPO) 역시 인력 부족과 전문성 한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북경찰청에 따르면 현재 전북지역 초·중·고 763개교에 배치된 학교전담경찰관 수는 56명으로 경찰관 1인당 담당 학교가 13.6개교에 달한다.
학교전담경찰관 이모씨(46)는 “확실히 눈에 띄는 폭력은 줄어든 감이 있다”면서 “그러나 1인당 10개가 넘는 학교를 맡다 보니 학생들 사이에서 은밀하게 이뤄지는 폭력에 대해 신경쓰는 데 한계가 있고, 최근 들어 파급력이 커진 사이버 폭력에 대한 단속은 더욱 어렵다”고 토로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