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 "교원 사기 진작·전문성 있는 후임자 임명" 여론
전북교육청이 지난 3월 이후 공석 상태인 감사담당관에 대한 임명절차에 착수한 것과 관련, 적격자가 과연 누가 될까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감사담당관실의 전면적인 쇄신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6일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이재천 전(前) 감사담당관의 후임자를 찾기 위해 재공모를 거쳐 마무리한 결과 5명이 지원했으며, 이 가운데 4명이 서류심사에 통과했다. 지원자 중에는 회계사, 전·현직 감사업무를 맡은 공무원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교육청은 18일 면접을 거쳐 오는 27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전북교육계는 ‘감사담당관실이 학교 현장에서 점령군처럼 장악하고 먼지털이식 감사로 교권의 사기를 저하시킨 만큼 이들의 전횡을 막고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는 그동안 교육계 전반에서 “감사담당관실이 부패 척결·학생 인권 등을 강조한 나머지 학교·교사에 지나치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댔고, 교원들을 개혁 대상으로 몰아세웠다”는 부정적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이같은 반감이 축적되면서 지난 전북 교육감 선거에서도 다른 후보들에 의해 불통 논란의 한 요인으로 쟁점화 됐었다.
실제로 한 징계위원은 “공직복무관리 사안은 법적인 판단과 다를 수 있다 쳐도, 지엽적인 사안까지 다뤄가면서 위법 여부를 따지는 건 말이 안 된다”며 감사과의 전문성 강화를 주문하기도 했다.
전주지역 한 중학교 교장도 “감사담당관실이 현장의 골치 아픈 민원을 해결해주는 곳이 아니라 학교·교사들을 위협하는 곳으로 여겨지는 게 사실”면서 “모든 잘못을 학교에 돌리는 감사 관행이 지속된다면 현장에서는 소신있는 교육행정을 펼치는 데 한계에 부딪힐 수 밖에 없는 만큼 후임 감사담당관의 입장 변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