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말 기준 602개…전국 1.94%에 그쳐 / 연구전담요원 자격 갖춘 인력 확보 어려운 탓
전북지역 중소기업 사업체 수가 전국의 3.5%(2013년 기준)를 차지하지만 기업부설연구소를 설치한 업체는 1.9%에 그치는 등 연구개발(R&D)을 위한 기업부설연구소 설치 비율은 여전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부설연구소는 중소기업이 대학 또는 연구기관의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신기술·신제품 개발 및 공정 혁신에 필요한 기술력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설치할 경우 조세 감면이나 연구개발 자금 등을 지원받게 된다.
11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와 전북지방중소기업청 등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북지역의 기업부설연구소는 602개로 전국 3만 1022개의 1.94%를 차지했다. 지난해 기준 도내 중소기업 사업체는 11만 4926개로 전국 323만 4687개의 3.5%를 점유했다.
이처럼 기업부설연구소의 설치 비율이 낮은 원인으로는 도내 중소기업이 연구전담요원 자격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기업부설연구소 인정 요건은 △벤처기업·연구원 창업 중소기업은 연구전담요원(이하 생략) 2명 이상 △소기업은 3명 이상(단, 창업일로부터 3년까지는 2명 이상) △중기업은 5명 이상 △중견기업은 7명 이상 확보 등으로 규정돼 있다.
연구전담요원의 자격은 기업 규모 등에 관계없이 자연계(자연과학, 공학, 의학 계열) 학사 이상,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기술·기능 분야 기사 이상이 해당한다. 중소기업에 한해서는 자연계 전문학사로 해당 연구 분야 2년 이상 경력자,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기술·기능 분야 산업기사로 해당 연구 분야 2년 이상 경력자 등으로 정해져 있다.
기업부설연구소를 설치한 기업 유형별로 살펴보면 소기업이 274개로 가장 많았고 벤처기업 185개, 중기업 109개, 대기업 29개 등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기계 130개, 건설엔지니어링 83개, 전기·전자 83개 등으로 제조업 위주의 업종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도내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원 규모는 2~4인이 대부분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기업부설연구소 가운데 2~4인 규모가 350개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5~9인 규모는 175개, 10~49인 규모는 50개 등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