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7:39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교육 chevron_right 교육일반
일반기사

유아·청소년 가공식품 통한 당류 섭취 '빨간불'

3∼5세·12∼18세 가공식품 당류 섭취 WHO 권고기준 초과

음료, 빵, 과자 등 가공식품을 통한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와 청소년의 경우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기준을 웃돌고 있다.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국민의 일평균 총당류 섭취량은 2010년 66.6g에서 2012년 65.3g로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38.8g에서 40.0g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가공식품 중에서도 음료류, 가공우유 및 발효유, 캔디·초콜릿·껌·잼류를 통한 당류 섭취량이 2010년 대비 각각 11.4%, 23.1%, 63.5%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3∼5세의 가공식품 당류 섭취가 34.7g, 12∼18세가 57.5g으로 각각 1일 섭취 열량의 10.5%, 10.1%를 차지했다.

 

 WHO는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1일 열량의 10% 미만(2천㎉ 기준 50g 미만)이어야 한다고 권고하는데 이 기준을 넘긴 것이다.

 

 6∼11세와 19∼29세도 1일 열량의 9.9%를 가공식품 속 당류로 섭취하고 있어 권고기준에 근접했다.

 

 특히 6∼11세는 가공식품 당류 섭취가 2010년 38.4g에서 2012년45.2g으로 늘어나 모든 연령대 중 증가폭이 가장 컸다.

 

 가공식품 종류별로는 음료류(34.3%)를 통한 당류 섭취가 가장 많았고, 이어 빵·과자·떡류(15.0%), 설탕 및 기타당류(14.5%) 순이었다.

 

 음료류 가운데에서도 6∼29세는 탄산음료, 30세 이상은 커피를 통해 많은 당류를 섭취하고 있었다.

 

 한편 과일, 채소 등에서 얻은 당류를 포함한 1일 평균 총당류 섭취량(65.3g)이 1일 열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3.4%로, 모든 연령대에서 20% 미만이었다.

 

 총당류 섭취량은 여성(61.0g) 보다 남성(69.5g)이, 읍면지역(59.7g)보다는 대도시 거주민(67.6g)이, 저소득층(59.3g)보다는 고소득층(73.9g)이 더 높았다.

 

 식약처는 "국민의 하루 평균 당류 총섭취량은 외국에 비해 아직 우려할 수준이 아니지만 어린이와 청소년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어 체계적인 당류 저감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