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농민 1인당 소득 전국 꼴찌 수준 / 비료·농기계 구입 등 예산 지원 선행돼야
최근 45년 사이 농업소득 보다 비료나 농기계 등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농업경영비 상승률이 훨씬 더 가파른 것으로 분석돼 농업의존도가 높은 전북지역에게 고통이 전가될 우려가 높다. 이런 가운데 전북지역 1인당 농업소득은 전국 꼴찌 수준을 면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국회의원(진무장임실)이 농림축산식품부의 주요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70년 19만 4000원이던 1인당 농업소득은 2013년 1003만 5000원으로 51배 증가하는데 그쳤다.
하지만 비료나 농기계 구입 등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농업경영비는 5만 4000원에서 2061만 3000원으로 382배나 급증했다. 1인당 농업소득은 농업 경영비를 제외한 금액이다.
이 같은 농업경영비 상승률은 순수하게 농사를 지어 벌어들이는 농업소득을 제외한 농업 외 소득 상승률보다도 높았다. 실제 같은 기간 농업 외 소득은 6만 2000원에서 1570만 5000원으로 253배 늘었다. 결국 농민들은 농사를 지어 소득을 올리기보다 급증하는 농업 경영비를 충당하는데 허덕이고 있다는 것이 박 의원의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전북지역 1인당 농업소득이 전국 꼴찌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농업 소득 증대와 농업경영비 절감을 위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13년 전북지역 1인당 농업소득은 789만 2000원으로 전국 평균(1003만 5000원) 보다 214만 3000원이 적었고, 9개 농도 중 경기도(773만 7000원)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뿐만 아니라 순수 농업소득에 부업 등으로 벌어들인 소득을 포함한 전북지역 1인당 농가소득(농업경영비 제외)도 2013년 현재 3086만 9000원으로 전국 평균(3452만 4000원) 보다 365만 5000원이 적어다. 이는 전국 9개 농도 중 경상남도(2994만 6000원)에 이어 두 번째로 적다.
박 의원은 “전북지역의 농업소득이 바닥을 면치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 특히 농업소득이 아무리 높아져도 소득에서 농업경영비율이 높으면 소득은 더 낮아질 수밖에 없다”며 “농업경영비율을 낮추고 소득을 놀리기 위해 비료가격이나 농업기계화율, 농업기반 정비에 예산투자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