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획정 안갯속·신당 가시화 등 변수 / 대책 없이 눈치보기
20대 총선이 1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구 획정 논의는 시작도 하지 못했고, 전북을 중심으로 한 야권 신당 출현도 가시화 되는 등 수많은 변수들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어 현역 의원은 물론 입지자들이 혼란속에서 애를 태우고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오는 1일 회의를 열고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문제 등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 한다. 이런 가운데 지역사회는 이미 선거정국을 형성하고 있다. 현역 의원은 물론 20대 총선에서 금배지를 달기 위한 신인들은 사실상의 선거운동에 돌입했다.
그러나 이처럼 선거정국이 본격화 된 것과 달리 정작 선수로 뛸 현역 의원들과 입지자들의 마음은 편치 않은 상황이다. 총선이 1년여 앞으로 훌쩍 다가왔지만 뭐 하나 손에 잡히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가장 큰 걱정거리는 선거구 획정이다. 지난해 헌법재판소가 현행 국회의원 선거구 인구편차(3대1)에 대해 불합치 결정을 내리면서 전주·익산·군산을 제외한 전북지역 선거구의 대대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 특히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보다 3~4석까지 의석이 줄 가능성이 있다.
실제 헌재의 판결 직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예측을 보면 전북은 1곳 선거구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다. 여기에 중앙선관위가 지역구는 축소하고, 비례대표는 늘리는 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최악의 경우 2~3석까지도 줄어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정치권은 내다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역 의원은 물론 20대 총선을 통해 금배지를 노리는 입지자 모두 이렇다 할 대책을 세우지 못한 채 먼 산만 바라보고 있다는 게 정치권의 설명이다. 그나마 동료의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는 정치신인들의 합구 예상 지역에 대한 움직임이 본격화 됐을 뿐이다.
한 입지자는 “종전 선거구에 맞춰 나름대로 준비를 착실히 해왔는데, 지난해 헌재가 인구편차 불합치 결정을 하면서 모든 것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할 판”이라며 “그나마 지금 예상대로만이라도 선거구가 결정되면 좋을 텐데 앞을 알 수 없어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보좌진은 “이번 선거는 다른 때보다 준비가 더 어려운 것 같다. 특히나 선거구 인구 상·하한선 기준이 지금보다 더 올라갈 것이라는 말들이 조심스럽게 나오는 상황이어서 현재 선거구에 이 곳 저 곳을 보태는 시나리오를 써가며 준비는 하지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