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세력 '결집'·천정배 '군침'·정동영 '위협' / 일부 "정상화 늦어질땐 총선 반타작도 어렵다"
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참패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의 분란이 끊이지 않으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전북 정치권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중앙당이 구성원들의 내홍으로 구심점으로서의 역할을 점차 잃어가면서 반 새정치연합 정서를 내세운 지역 내 정치세력이 속속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는 곳 생존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8 전당대회에서 새로운 지도부를 꾸린 새정치연합은 ‘유능한 경제정당’을 내세우며 국민 속으로 파고들었다. 20% 대에 머물던 정당 지지율이 30%를 돌파하는 등 순항했다. 그러나 4곳에서 치러진 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전패하면서 당내 내홍이 본격화 됐다.
재·보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당 대표가 사퇴해야 한다는 비노 진영의 요구는 공천 지분 나누기로 비화되면서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았다. 그나마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을 위원장으로 하는 혁신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내홍은 잠시 수그러드는 듯 했다.
하지만 이도 잠시. 김경협 사무부총장이 지나 12일 트위터에 “(김대중 노무현) 두 대통령의 정신과 가치를 계승하는 정당에서 비노는 당원 자격이 없다. 새누리당의 세작이다”는 글을 게재하면서 당내 갈등이 다시 폭발했다. 비노 진영에서는 연일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뿐만 아니라 같은 날 본격적인 행보에 들어간 혁신위원회가 첫 혁신과제로 ‘정체성 논의’를 정한 것과 관련해 비노 진영에서 반발하고 나서는 등 당내 내홍이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당내 내홍이 지속되면서 전북 정치권의 낯빛을 어둡게 하고 있다.
구성원들이 하나로 뭉치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는 동안 반 새정치연합 정서를 내세운 세력들이 전북을 호시탐탐 넘보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적으로는 노동당·정의당·국민모임 등 진보세력이 세력 결집에 나섰고, 전북에서는 4·29 재보선을 통해 광주에서 깃발을 꽂은 천정배 의원이 전북에서 세력화를 위한 행보에 나서고 있다.
뿐만 아니라 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낙마한 정동영 전 장관이 내년 총선에 전주에 출마해 무소속 후보들과 연대체를 구성, 새정치연합과 대립각을 세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로 인해 전북 정치권 일부에서는 급기야 내년 총선에서 ‘반타작도 어렵다’는 목소리마저 나오는 상황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당 안팎에서 내홍은 계속되고, 대표는 이를 불식시킬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외부세력이 준동할 수 있는 상황만을 키우고 있는 것 같아 답답하다”며 “빠른 시간 안에 당내 구성원들이 하나로 뭉치고, 당이 정상화 되지 못한다면 내년 총선에서 전북은 큰 위기를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