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지역만 아니면 돼" 안이한 인식…대응 없어 / 대표성·정치력 약화 우려 충남·경기는 반발 커
중앙선관위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사실상 농어촌지역 대표성이 보완되지 않은 획정 안을 내놓아 전북지역의 정치력 약화가 크게 우려되고 있으나 도내 정치권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어 도민들의 궁금증을 사고 있다.
전북 의석 감소는 곧 지역의 정치력 약화로 이어지고, 정치력 약화는 현안 해결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만큼 불합리한 획정 안 저지에 정치권이 적극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높다.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지난 19일 20대 총선 국회의원 지역구 의석수를 244~249석 범위 내에서 결정하겠다고 발표한 뒤 의석 감소가 예상되는 전국 농어촌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사실상 획정위 안이 인구 편차를 이유로 농촌지역 선거구를 줄여 도시지역의 선거구를 늘리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전북의 경우도 정치권과 지역정가에서 2개의 의석이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 있게 나오면서 지역 사회는 벌집을 쑤셔놓은 분위기다.
문제는 전북지역 대표성 약화 우려가 애초 예상보다 커진 상황임에도 지역 정치권의 대응이 미온적이라는 점이다. 지역의 대응에 비해서도 너무나도 소극적이다.
실제 충남지역에서는 획정위 안이 종전의 10개 선거구 유지로 나오자 획정 안의 부적절 성을 지적하는 성명이 나왔다. 또 전남에서도 일부 의원이 성명을 통해 농어촌지역의 대표성을 무시한 채 이뤄진 획정 안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냈다.
새누리당 경기도당은 23일 기자회견까지 열어 선거구 획정위의 안산지역구 축소 보도에 대한 공개질의와 논의과정 공개를 요구하는 등 지역구 사수를 위한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
물론 성명을 내거나 기자회견을 통해 불합리성을 주장하는 목소리를 내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획정안의 불합리성에 대한 지역 사회 공감대를 바탕으로 소속 의원의 뜻을 모아 실질적인 협상권한을 갖고 있는 당 대표를 적극적으로 설득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런데도 도내 정치권에서는 선거구 획정과 관련한 의견수렴을 위한 별다른 움직임이나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전북 정치권이 획정위 안에 대해 ‘전북’이라는 큰 틀을 바라보지 못하고 ‘내 지역만 아니면 돼’라는 안이한 인식으로 바라보는 것 아니냐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도내 정치권이 너무 구심점이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획정위 안대로라면 전북의 경우 2석이 줄어 농촌에서는 국회의원 얼굴조차 구경하기 힘들고, 전북의 정치입지는 더 쪼그라들 것”이라며 “전북 의원들의 지역의 대표성 보완을 위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