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는 전례 없는 호황을누리고 있다. 올해 투어 대회 29개에 총상금이 180억원에 이른다. 총상금 680억원을 내걸고 32개 대회를 치르는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에 비하면 대회수는 비슷하고 총상금 규모도 경제 규모를 고려하면 크게 뒤지지 않는다.
올해 한국여자프로골프에서 1억원이 넘는 상금을 벌어들인 선수만 50명이 넘는다. LPGA투어에서 올해 상금 10만 달러를 넘긴 선수는 90명이 안 된다.
하지만 이런 호황 속에도 선수들은 체력 고갈과 부상에 신음하고 있다.
올해 한국여자프로골프가 낳은 최고의 인기 스타 전인지(21·하이트진로)는 지난 1일 서울경제·문영퀸즈파크 레이디스 클래식 최종 라운드 도중 어깨 통증으로 기권했다. 이어 ADT캡스챔피언십에 출전을 포기했다. 다음 대회인 시즌 최종전 조선일보-포스코챔피언십 출전도 불투명하다. 시즌 막판 대상 포인트 경쟁을 포기했다.
7월까지 3승을 올린 고진영(20·넵스)은 무릎에 물이 차는 증상으로 고통받고 있다. 서울경제·문영퀸즈파크 레이디스 클래식 1라운드를 앞두고 너무 아파 기권했다.
ADT캡스챔피언십 디펜딩챔피언 김민선(20·CJ오쇼핑)은 대회 1라운드를 마치고 몸살이 심해 기권했다. 시즌 중반부터 손목 부상을 당했지만 참고 경기를 치렀고 급기야 감기까지 걸렸다.
선수 상당수는 대회가 이어지면서 응급 처치에 그칠 뿐 제대로 된 치료를 시즌이 끝난 뒤로 미룬다.
한국여자프로골프 선수들의 대회 출전 회수는 LPGA 투어 선수와 비슷하거나 조금 적다. 하지만 해외 원정과 함께 골프 코스의 오르막 내리막이 심해 한국의 선수들은 피로도가 더 높다.
스타 선수의 기권과 출전 포기를 둘러싸고 대회 주최측, 협회, 선수 사이에 벌어지는 갈등이 재연되지 않으려면 연간 대회 출전 계획 수립과 함께 부상 방지와 체력 강화 등 체계적인 선수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