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18:04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자치·의회
일반기사

[전북연구개발특구 출범 의미와 기대 효과] 농생명·탄소소재 등 전략산업 '가속'

전국 5번째 지정…道 단위로는 처음 / 향후 10년간 생산 7조·고용 2만명 전망

▲ 12일 전북도청 대회의실에서 '농생명 첨단소재산업의 세계일류 융복합 지식허브'란 슬로건으로 열린 전북연구개발특구 출범식에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송하진 도지사, 김차동 특구재단 이사장 등 참석자들이 전북특구 비전을 선포하고 손을 맞잡고 있다. ·사진제공 = 전북도

전북도가 전국에서 다섯 번째, 도 단위로는 처음으로 연구개발특구를 공식 출범하면서 농업과 탄소산업이 융복합산업으로 발전하는 토대를 마련했다.

 

전북도는 2010년 광주, 대구와 함께 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신청했으나 요건 미비로 홀로 탈락했다.

 

이후 농생명, 탄소소재 등 융복합산업 중심의 국립연구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이전하면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다음으로 많은 국립·정부출연연구기관 10개를 보유하게 됐다.

 

이를 바탕으로 전북도는 2013년 10월 전북연구개발특구를 수정해 재신청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전문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8개월간 검토한 끝에 지정 적정 의견을 받았고, 올해 2월 미래부에 정식으로 지정 신청서를 제출했다. 올해 3월부터 11개 관련 부처 협의,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미래부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난 7월13일 지정받기에 이르렀다.

 

△준비된 특구

 

지난달 12일 출범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전북특구본부는 전북연구개발특구 출범과 동시에 (주)신드론, (주)카이바이오텍, (주)금강ENG 등 3개 연구소기업을 지정했다. 연구개발특구 출범과 연구소기업 지정을 동시에 진행한 사례는 전북연구개발특구가 처음이다.

 

앞서 지정된 연구개발특구보다 연구소기업 지정이 2년가량 빨라 출범 단계부터 준비된 특구라는 이미지를 심어 줬다.

 

이를 위해 전북도와 전북특구본부는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이후 특구 내 대학, 기업, 연구기관 등과 연구소기업 지정 요건 등을 검토해 왔다. 그 결과 2011년 전북도를 비롯해 전북대 등 5개 대학, 전북은행이 주주로 참여한 전북지역대학연합기술지주회사의 자회사를 대상으로 연구소기업을 지정했다.

 

△신규 기업 300여개 집적 효과

 

전북연구개발특구는 매년 국가로부터 기술사업화 명목으로 100억 원 이상의 자금을 받아 공공기술 이전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 개발, 양산 준비 등의 기술사업화(R&BD)를 지원한다. 창업 등을 위해 조성된 총 1250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특구펀드와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에 조성된 총 400억 원 규모의 탄소펀드도 활용할 수 있다.

 

전북도는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으로 2025년까지 생산 유발효과 7조 원, 고용 유발효과 2만 명, 신규 기업 300여 개의 집적화 등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했다. 전북연구개발특구와 국가식품클러스터, 새만금으로 이어지는 연계망 구축으로 중국 등 해외 교류가 촉진돼 전북의 지역내총생산(GRDP), 재정력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