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민선6기 공약 시·군당 1개 육성 목표 / 김제·임실 사업 터덕, 장수 주민간 갈등 증폭
민선 6기 핵심 공약인 삼락농정의 일환인 ‘전북형 농촌관광 거점마을’ 조성 사업이 초반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시·군별 농촌관광 거점마을을 선정한 지 10개월이 다 됐지만 일부는 부지 확보 문제로 재선정 절차를 밟고, 내부 구성원 간 갈등으로 갈림길에 선 곳도 나타나고 있다.
11일 전북도에 따르면 김제시는 지난 5일까지 농촌관광 거점마을 공고에 나섰지만, 신청한 마을이 없어 재공고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지난해 4월 김제시 농촌관광 거점마을로 내촌아리랑마을이 선정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마을은 공동 부지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사업 포기 의사를 밝혔다.
지난해 임실군 박사골마을도 공동 부지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일부 주민의 반대에 부딪혀 사업을 포기했다. 새로운 농촌관광 거점마을로는 임실군 옥정마을이 선정됐다.
또 장수군 용신마을은 주민간 갈등으로 사업 추진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농촌관광 거점마을 조성 사업을 반대하는 주민은 반대 투쟁위를 구성해 국민권익위원회 등에 민원을 접수하고, 현수막을 내걸었다. 사업이 중단되면서 지난해 예산 3억 6200만 원은 이월됐다. 전북도와 장수군은 조만간 전체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한 마을 총회를 열어 해결점을 찾겠다는 구상이다.
사업 주체인 용바우영농조합의 대표는 “1가구 1조합원 원칙에 따라 마을 42가구 가운데 28가구가 1인당 350만 원을 출자하면서 부지까지 마련한 상황”이라며 “현재는 반대 측이 사업을 반대하고 있지만, 마을 총회로 서로의 입장은 알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반대 투쟁위 관계자는 “마을 주민이 서로를 의심하면서 공동체가 무너졌다”며 “26명의 주민이 반대 서명에 동참한 가운데 사업 전면 반대와 운영 주체 변경을 통한 사업 진행 등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간 총 420억 원을 투자해 14개 시·군별 전북형 농촌관광 거점마을을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시·군당 농촌관광 거점마을 1곳을 육성해 인접한 마을과 연계하겠다는 것이다. 마을당 30억 원을 투입해 마을 체험 관광 관련 시설·프로그램을 정비하고, 운영 역량 강화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지난해 4월 농촌관광 네트워크의 시·군별 거점 주체인 농촌관광 거점마을 10개를 선정했다. 이 10개 가운데 김제시, 임실군, 장수군 마을이 포함돼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