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치로 전북지역 중소기업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상직 국회의원(전주 완산을)은 16일 “정부는 생색내기식 지원이 아닌 업체별 실제 피해규모를 면밀히 추산해 보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지난 2010년 5·24 대북제재 조치 당시 대한상의 조사결과 업체 평균 피해액은 20억 원이 넘었던데 반해 정부 무상지원은 업체당 500만원~2000만원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의원은 이어 이번 사태를 “대기업에 치이는 중소기업이 인건비 좀 줄여보겠다고 정부를 믿고 개성공단에 입주했다가 정부에 의해 갑자기 날벼락 맞고, 몸만 쫓겨나온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남북경협보험에 가입한 기업도 3개 업체에 불과하며, 이 또한 피해규모에 비해 실제 보상금액은 턱없이 모자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 “겨우 몸만 빠져 나온 개성공단 입주 중소기업들에게 정부가 내민 대책이 다시 ‘빚’을 내라는 건 불난 집에 선풍기 돌리는 꼴”이라며 “이번 사태가 4·13 총선을 앞둔 북풍전략이 아니길 바라면서 피해중소기업들을 위한 실질적인 보상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