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최근 3년간 99건발생…오후 1~2시 사이 19% 달해
날씨가 포근해지는 봄철에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운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3일 전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도내에서는 최근 3년간(2013~2015년) 모두 330건의 졸음운전 사고가 발생해 21명이 숨지고 666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
계절별로 살펴보면 봄 99건, 여름 101건, 가을 78건, 겨울 52건으로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는 3월부터 졸음운전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생 시간은 점심시간 이후인 오후 1시에서 오후 2시 사이에 발생한 사고가 전체 졸음운전 사고의 19%를 차지했다.
전북경찰청 관계자는 “교통사고 특성상 졸음운전 사고는 원인규명이 쉽지 않아 실제로는 더 많은 졸음운전 사고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고속도로 졸음운전은 생명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6월9일 오후 10시45분께 서해안 고속도로 하행선 고창 IC부근 2차로를 주행하던 화물차량이 졸음운전을 하다 앞서가던 화물차를 들이받아 운전자 A씨(43)가 그 자리에서 숨졌다.
앞서 지난해 4월1일 오후 4시35분께는 김제시 공덕면의 한 도로에서 편도 2차로를 달리던 승용차가 앞서가던 화물차를 들이받아 승용차 운전자 B씨(30)가 크게 다쳤다.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졸음운전은 알코올농도 0.170%의 상태로 운전하는 것과 비슷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시속 100㎞로 달릴 경우 1시간 안에 운전자의 29%가 졸음이 오고 2시간을 쉬지 않고 운전하면 75%가 졸음을 느끼기 때문에 적어도 2시간에 한 번 이상은 반드시 휴식을 취해야 한다.
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졸음운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차량 내부를 자주 환기시켜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졸음방지에 도움이 될 먹거리(껌, 커피, 사탕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며 “심한 졸음이 온다면 반드시 휴게소나 졸음쉼터를 활용해 잠깐 눈을 붙인 다음 출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