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2020년 새만금호 목표 수질을 달성하기 위해 ‘가축분뇨’를 집중 관리하기로 했지만, 실효성을 거두려면 넘어야 할 산이 여럿이다. 농가에서 자체 처리하는 가축분뇨를 위탁 또는 공공처리로 전환하고, 돈분 공공처리시설을 증설하겠다는 게 전북도의 복안. 그러나 각 자치단체는 주민 반대와 예산 부담을 이유로 공공처리시설 증설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7일 도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도내 일일 가축분뇨 발생량(2만톤)의 63%는 농가에서 자체 처리하고, 37%만이 위탁해 처리한다. 대부분 가축분뇨를 퇴비화·액비화 처리하고, 공공 정화 처리하는 비율은 10% 미만이다.
도내 연간 가축분뇨 퇴·액비 생산량은 659만2000톤, 퇴·액비 소요량은 300만톤으로 조사됐다. 농경지에 필요 이상으로 공급되는 연간 가축분뇨 퇴·액비량이 359만2000톤에 달하는 셈이다.
가축분뇨 발생량은 전체 오염원의 1%에 불과하지만,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 부하량은 53%로 생활하수의 약 100배에 이른다.
이에 따라 도는 △전자인계시스템을 활용한 지도·점검 강화 △불법행위 적발 업체에 대한 액비살포 보조금 제한 △공공자원화 시설 확충을 통한 자가 처리율 감축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확충 △우분 연료화시설 설치 확대 △휴·폐업 축사 철거 확대 △축사 현대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특히 새만금 유역 2단계 새만금 수질 개선 대책 중간평가에 따라 돈분의 공공정화처리 비율을 2020년까지 50%로 끌어 올리겠다는 목표다. 현재 도내 일일 돈분 발생량은 7256톤, 공공처리시설 정화량은 2543톤(35%)이다.
도는 지역 주민의 반대로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신설은 어렵다고 판단, 증설로 가닥을 잡았다. 내년까지 새만금 유역 정읍(338톤)·김제(140톤)·완주(54톤), 2020년까지 새만금 유역 외 남원(250톤)·고창(170톤)·임실(98톤)·진안(52톤)에 공공처리시설을 증설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만 추진된다면 공공정화처리 비율을 50%까지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김제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만 해도 매년 27억 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증설과 관련 1톤당 약 1억 원이 드는 만큼 새만금 유역 3개 시·군에만 532억 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4일 새만금위원회는 전주하수처리장 증설,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확대, 우분 연료화사업 등 3대 추가 대책을 심의·의결했다. 추가 대책 예산 1752억 원은 2단계 새만금 수질 개선 대책(2011~2020년)의 총사업비 2조 9502억 원 내에서 조정한다고 밝혔다. 당시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확대 예산은 54억 원을 책정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