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기업 친화적 전북 만들기 주력

전북도, 기초 자치단체·상공회의소와 협업 회의 / 각 시·군, 후견인제·고충 간담회 정례화 등 도입

남원시는 도시관리계획을 변경해 동·식물 연구센터 부지에 관광숙박시설, 뷰티직업전문학교 등 헬스뷰티타운을 유치했다. 이를 통해 투자액 132억 원, 연 매출 50억 원, 일자리 창출 100명이라는 성과를 냈다. 또 톱밥과 목재 부산물인 수피 등 사업장 폐기물을 친환경 유기질 비료 원료로 전환하고, 해당 업체를 폐기물 처리 실태 점검에서 제외했다. 폐기물은 생산품이 됐고, 연간 3억 원의 소득도 창출됐다.

 

남원시는 지난해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15년 전국 규제 지도’에서 경제 활동 친화성 부문 전국 1위에 올랐다.

 

경제 활동 친환성은 자치단체별 규제와 기업 유치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남원시는 2014년 180위에서 무려 179 순위 상승했다.

 

이러한 성적은 다가구주택, 음식점 창업, 유통·물류, 공공 수주·납품 등 4개 분야의 규제를 과감히 푼 영향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사례를 본받아 전북지역 시·군이 기업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등 환골탈태에 나섰다. 낙후 이미지를 벗고 ‘기업하기 좋은 전북’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전북도는 4일 전북도청에서 14개 시·군, 상공회의소와 함께 기업하기 좋은 전북 만들기 추진 협업 회의를 열었다.

 

이날 모든 시·군은 ‘찾아가는 현장 기동반’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군산·남원·완주·진안 등은 기업 후견인제를 도입하고, 정읍·무주·장수·순창 등은 기업인 고충 간담회를 정례화하기로 했다.

 

전주시는 산업단지 내에 기업지원팀이 현장 근무하는 기업지원사무소를 운영해 지원 문턱을 낮췄다.

 

군산시는 친기업사랑 1인 2사 후견인제를 상·하반기 운영한다. 후견인제는 읍·면·동장 및 담당자 등 140명에게 각각 업체 2개를 결연하고, 애로 사항을 청취하려는 의도다. 복합 민원 처리를 위한 민원후견인제도도 시행한다. 민원과 사무 처리 경험이 많은 6급 이상 공무원을 민원 후견인으로 지정하고, 관련 부서를 연계해 처리한다.

 

익산시는 민원 처리 기한을 20일에서 8일로 최대한 축소하고, 복합민원 실무종합심의회를 운영해 민원을 신속히 처리할 방침이다.

 

김제시는 부시장 즉시 보고 체계의 기업애로 핫라인을 개설해 민원을 빠르게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소상공인 창업 관련 자치법규 4건에 대한 일괄 개정도 추진한다.

 

이형규 전북도 정무부지사는 “기업이 규제 개선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시·군에서 의지와 관심을 가지고 규제 개선 등 자체 추진 계획에 대해 꼼꼼히 챙겨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민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