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0:42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경제일반
일반기사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매각 추진, 현재와 전망]도심 속 거대한 노른자위 땅…전주시 "더이상 개발 안돼"

전주시 '토지용도 변경' 불가 방침에 작년부터 부지매각 시도했지만 무산 / 시의회도 아파트 건축에 부정적 입장 / 업체측 성급한 개발 여론몰이 분석도 /

▲ 전북도청에서 바라본 대한방직 전주공장 전경. 전북일보 자료사진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전주시 완산구 서부신시가지내에는 부동산업계에서 소위 ‘노른자위’로 불리는 거대한 땅이 있다. 바로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다.

 

주변 지역은 각종 관공서와 서부신시가지, 대규모 아파트 단지, 주택가가 밀접해 있으면서 3.3㎡당 300만원에서 최대 800만원까지 거래되는 등 최근 몇 년 새 가장 뜨거운 지역이 됐다.

 

그 한 가운데에 덩그러니 40년 넘게 넓은 공장부지가 위치해 있으니 이에 대한 개발 여부에 대해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는 21만6464㎡, 약 6만5000여평으로 서울 상암 월드컵경기장 면적과 비슷하다.

 

대한방직도 그런 땅의 가치를 알고 최근 부지매각을 시도했지만 공개 매입 후보자들이 매입의사를 철회하면서 지난 2월 매각이 무산됐다.

 

이같은 상황에서 포화상태인 전주시 아파트와 주택의 현실을 감안해 건설업체와 떴다방이나 기획부동산의 주머니를 챙겨주기보다는 시민과 도민을 위해 그대로 존치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대한방직의 매각시도와 무산

 

지난해 8월26일 대한방직(주)(대표이사 설영기)은 전주시 완산구 효자3동 151번지 일대의 21만6463.54㎡(6만5480평) 공장 부지를 8월27일부터 9월4일까지 일반 경쟁 입찰방식으로 공개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공개 매각은 경영정상화를 위한 자금 확보에 따른 결정이라는 것이 대한방직 측의 설명이다.

 

대한방직이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전주공장 부지는 현 공시지가로 3.3㎡당 192만8000원, 장부가액으로는 1491억4300만원이었다.

 

전주공장 부지 매각 소식에 이날 오전 대한방직의 주식은 전일대비 29.95% 오른 12만1500원에 거래됐다. 일반 방직회사의 주식상승폭과는 큰 차이가 있었다.

 

이후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매각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한양제이알디(컨소시엄)가 전주공장 부지 가격으로 2000억원이 넘는 금액을 불렀다.

 

대한방직은 다음달인 9월25일 전주공장 부지 매매대금으로 2005억원을 제시한 우선협상대상자인 한양제이알디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한양컨소시엄이 제시한 매매가격은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가 일반공업용지임에도 불구하고 공시지가를 743억여원이나 웃도는 금액이다. 향후 대한방직과 본 계약이 체결되면 한양컨소시엄이 주거용지 및 상업용지로의 용도변경을 신청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2005억원이란 막대한 금액을 들여 산 전주 서부신시가지의 마지막 노른자 위 땅에 공장을 세울리는 만무했기 때문이다.

 

한양이 이같은 계획을 갖고 매각을 추진했지만 부지 용도 변경이 여의치 않아졌다.

 

이후 대한방직은 지난 2월11일 자율공시를 통해 우선협상 대상자인 한양제이알디와 본 계약상의 주요 조건에 대해 합의에 이르지 못해 효력이 상실됐으며 차순위인 부영과 매각협상을 2월 말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매각협상 진행과정에서 부영 측이 매수의사를 철회하면서 사실상 공개매각은 무산됐다.

 

대한방직 측은 “향후 전주공장 부지 매각은 계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일반 공업용지로 남아 있는 이상 매각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부동산 업계의 공통적인 시각이다.

 

△전주시 “입장 변화 없어, 개발하지 않아도 돼”

 

한양과 부영이 처음에는 의욕을 갖고 대한방직 부지 매입에 심혈을 기울였지만 중도 철회한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전주시의 ‘토지용도 변경’ 불가 방침 때문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2014년 7월 취임 초기부터 도심 내 아파트 및 상업 건물의 무분별한 조성에 반대해왔고 전주시도 그런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전주시는 현재 송천동 에코시티(옛 35사단)에 1만 가구가 넘는 공동주택 공급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효자지역에 대한 대규모 아파트 건축 승인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줄곧 고수하고 있다.

 

전주시에 따르면 현재 공업용지인 대한방직의 부지 개발을 위해서는 2012년에 수립된 ‘2025년 전주도시기본계획’을 변경해야 하지만 이는 전주시 전체 권역에 대한 변경 요인이 발생했을 때만 가능하다.

 

이를테면 전주시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나 대규모 공공개발사업 추진 등의 특별한 변화 없이는 도시계획 변경이 2017년까지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2025 전주도시기본계획’의 항목에 있는 전주시내 권역별 인구계획에는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가 있는 효자권역 인구계획이 8만 명이다. 그러나 현재 이 권역에 살고 있는 인구는 9만 명(지난해 9월 기준)으로 인구 초과 상태에 놓여있다.

 

전북도가 진행하는 도시기본계획 변경 심의와 추후 용도 변경에 따른 특혜의혹 등을 불식시켜야 하는 등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전주시 내부에서는 대한방직 공장 부지 매각 설이 나올 때마다 ‘용도변경을 하려면 최소 토지의 50% 이상을 기부체납해야 특혜 의혹 등 시비에 휘말리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김 시장과 시의회 측도 대한방직 부지에 아파트를 신축하는 것에 부정적이다.

 

이미숙 시의원(효자3·4동)은 지난해 9월17일 열린 제323회 임시회 3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대한방직 부지 매입 예정업체가 주택건설 전문기업이라는 점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 조성이 예상되지만 전주지역 아파트 공급 계획을 보면 이미 포화상태인 만큼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시장도 “서부신시가지 중심부에 위치한 대한방직 부지는 시 전체를 고려한 개발 방향이 정해져야 한다”고 답변한 바 있다.

 

또 시와는 공식 협의도 없이 처음부터 무리한 개발 여론을 일으킨 업체 측이 너무 매각을 성급하게 추진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시 관계자는 “대한방직이 매각 절차를 진행하면서 제대로 된 협의가 없었다”며 “용역회사가 단 한 번 찾아왔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용도변경 유지 건에 대해서는 “해당 공장 부지에서 오염원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종업원도 200여명이 근무하는 등 공장이 원활하게 잘 돌아가고 있다고 본다. 또 이미 주변 지역 인구가 상한선에 다다랐고 더 이상 개발할 이유가 없다”고 못박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백세종 bell103@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