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도, 관광객 늘리기 '안간힘'

정부 통계 기반 지식정보시스템 등록지 발굴

자치단체별 한 해 관광객 수는 자치단체장의 치적으로 포장된다. 자치단체는 엉터리 통계로 관광객 수를 부풀려 발표해 왔고,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이 관광객 통계의 허수를 잡겠다며 ‘객관적 집계 방식’을 도입했다. 관광객 숫자를 정확히 집계할 수 있는 유·무료 관광지만 통계로 잡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조사 지점 즉, 유·무료 관광지를 많이 등록한 자치단체는 관광객 수 상위권, 적은 자치단체는 하위권에 머물면서 자치단체의 눈물겨운 관광객 수 늘리기 2라운드가 시작되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관광지식정보시스템을 보면 시·도별 주요 관광지 등록 수는 경기도 238곳, 강원도 231곳, 전남도 224곳, 경북도 191곳, 경남도 146곳, 충북도 125곳, 전북도 117곳 등의 순이다. 내국인과 외국인을 합친 관광객 수도 경기도(6369만 명), 전남도(3968만 명), 강원도(3568만 명), 경북도(3556만 명), 경남도(3438만 명), 전북도(2965만 명) 등으로 주요 관광지 등록 수와 전반적으로 일치했다.

 

이에 전북도는 최근 ‘주요 관광지 입장객 통계 분석 및 대응 전략’을 주제로 회의를 열고 국내·외 관광객 수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올해 1·2분기 전북지역 관광객은 1287만 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84만 8000명보다 3만 명가량 늘었다.

 

이와 관련 전북도는 이달까지 시·군별로 주요 관광지 추가 등록 수요를 조사하고, 다음 달 신규 등록지를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전북지역 골프장, 승선 발권이 가능한 석도항 등에 대한 전수 조사를 통해 주요 관광지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 관광객 수 집계 방식의 하나인 사전 예약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시·군별 대표 축제와 연계해 축제 관광객 수를 통계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한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입장권과 관람권 등 발권 △무인 계측기와 CCTV 등 기계장치 △사전 예약제도 등 객관적 산출이 가능한 관광지를 시·도 협의를 통해 지정하고 있다. 더 많은 관광지를 등록하려면 자치단체 예산으로 무료 관광지에 무인 계측기나 CCTV 등을 설치해야 한다.

문민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올해 100대 기업 여성임원 476명 역대 최다…전체 임원 중 6.5%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

군산“군산에 오면, 미래 체육을 만난다”

전주전주시의회, 18~26일 행감…시민 제보 접수

정읍정읍 바이오매스발전소 건립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