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출신 박주현 국회의원, 대정부 질문서 주문 / 연료 수급 1% 그쳐…삼성 투자 용지 활용 대두
신재생에너지 종합단지 구축이 포함된 새만금 발전방안을 적극 활용하면 정부가 추진하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획기적인 발전이 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군산 출신 국민의당 박주현 국회의원(비례)은 지난 22일 국회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지금 지진으로 원전 안전 문제가 심각하다. 중국 발 화력발전소발 미세먼지는 날로 극심해져 있고, 폭염으로 전기사용량도 급등하고 있다”며 “지금이야말로 신재생에너지를 획기적으로 늘려야 하고 또 늘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이 같이 밝혔다.
박 의원은 “전세계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22.3%고, OECD 국가 평균이 9%인데 우리나라는 1%밖에 안 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환경 문제와 국민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신재생에너지 문제의 진척이 좀 느린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새만금 발전방안에 신재생에너지 종합단지 구축이 포함돼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산자부 장관을 압박했다.
산자부 주형환 장관은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면서 “새만금 지역과 관련해서는 애초에는 신재생에너지 구역이 있다가 2014년 9월 새만금기본계획을 변경·확정하면서 그 부분이 빠져 있는데 이 부분도 관련부처랑 다시 한 번 여지가 있는지 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새만금개발청은 신재생에너지 구역으로 재설정되지 않더라도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계획 대로 진행된다고 밝혔다. 용지 조성 등 내부개발이 완료되면 새만금지역에서 연간 77만5000t
oe(ton of oil equivalent, 석유환산톤)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것으로 새만금개발청은 분석했다.
해당 용지는 2011년 삼성그룹이 풍력발전기, 태양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단지를 구축하겠다고 공언한 곳이다.
하지만 최근 삼성 측은 ‘사업성이 없다’며 기존 투자계획을 접어 지역 사회 및 정치권에서 큰 논란이 일었다.
새만금개발청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해 국내 기업의 관심이 높다”면서 “용지 명칭이 바뀌었을 뿐, 애초 사업 추진 일정이나 내용에는 변함이 없다. 용지 조성이 끝나는 대로 민간사업자를 유치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본 궤도에 올리겠다”고 말했다.
한편 새만금지구 내 신재생에너지 용지(삼성 투자 용지)는 지난 2014년 9월 새만금기본계획이 변경되면서, 국제협력용지로 이름이 바뀌었다. 앞서 2011년에 전북도와 국무총리실, 삼성이 오는 2021년부터 2040년까지 2단계에 걸쳐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용지에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를 구축한다는 총 23조 원 규모의 투자협약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서울=박영민, 최명국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