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이 전북지역에서만 7만 가구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빈집은 범죄 장소로 악용되거나 관리가 안 돼 지역 경관을 훼손할 우려가 커 체계적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도내 총 주택 수는 68만7000가구다. 이 중 빈집은 7만4000가구(10.8%)에 달한다.
전북지역의 빈집 비율은 세종시(20.3%), 전남도(13.8%), 경북도(10.9%) 다음으로 높다.
전국의 총 주택 중 빈집은 106만9000가구로 전체 주택의 6.5%로 나타났다. 통계청 조사가 시작된 이후 빈집이 100만가구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빈집의 3분 1 가량은 30년 이상된 노후 주택이다. 전북은 절반에 육박하는 40.3%가 30년 이상된 주택이다.
전국적으로 빈집은 도시보다 읍면 지역에 더 많았다. 고령화와 도시 이탈로 농어촌 인구가 줄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빈집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빈집은 각종 안전사고와 범죄 장소 악용, 경관 및 주거 환경 악화, 도심공동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게 전북도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농어촌 빈집 정비사업의 하나로 올해 말까지 빈집 1353채를 철거·정비하고, 사업비 3억원을 들여 빈집 30채를 임대주택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빈집정비 특별법(안) 제정에 대비해 전북연구원과 함께 오는 11월까지 빈집 실태분석 및 정비 방안을 연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전북도는 4일 도청 종합상황실에서 송하진 도지사 주재로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쾌적한 정주여건 마련을 위한 빈집 정비’등 13개 부서 핵심과제 추진 상황에 대해 논의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