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국제공항의 입지와 사업 시기 등을 분석하는 타당성 조사가 연내 시작되는 가운데, 신공항의 경제성을 부각할 수 있는 적극적인 논리 개발이 사업 추진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18일 전북도에 따르면 최근 기획재정부는 타당성 조사 용역비 8억원을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에 배정했다. 이에 따라 다음달 중 용역 수행기관을 선정하고, 연내 용역이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용역 수행기관으로는 한국교통연구원이 유력하다. 이번 용역을 통해 국토교통부는 새만금 지역 공항개발의 경제성과 입지, 사업시기, 규모 등을 검토한다.
하지만 항공 수요 등 경제성 측면에서 새만금 신공항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건에 놓여 있기 때문에 새만금개발에 따른 항공 수요 증가와 지역균형 발전 등의 논리 개발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정부가 영남권 신공항을 백지화한 주된 이유 중 하나로 경제성을 꼽았기 때문이다.
김상엽 전북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새만금 한중 산업협력단지를 계기로 기업 투자 유치가 활성화하면, 공항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논리를 적극적으로 펴야 한다”며 “공항 건설에 따른 지역균형발전 효과, 향후 항공 수요 추이 등을 면밀히 분석해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신공항 입지에 대해 “새만금~전주간 고속도로 등 새만금 내부 간선도로망이 인접한 김제지역이 유력해 보인다”면서도 “용역 수행기관에서 경제성, 입지, 수요를 재검증할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영남권 신공항 사례를 토대로 입지를 두고 벌어질 지역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수립도 주요 과제로 떠오른다.
신공항 후보지인 군산과 김제지역의 국회의원·단체장 등이 용역 수행기관을 압박하거나 상대 지역을 깎아내리게 되면 새만금 신공항에 대한 국민 여론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류재영 한국항공대 교수는 “지역 정치권이 개입할 여지를 줘선 안 된다. 입지 선정에 있어선 무엇보다 용역 수행기관 등 전문기관의 의견이 중요하다”며 “지역 갈등으로 번지지 않도록 영남권 신공항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사 용역에서 새만금 신공항 건설이 필요하다고 결론나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2017년)와 국토부의 기본계획수립(2018년), 기본 및 실시설계(2019년)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2020년 새만금 공항건설 공사가 착수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정부는 지난 5월 새만금 국제공항 개발 계획이 담긴 정부의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6~2020)’을 고시했다.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은 최근 저비용 항공시장의 활성화와 중국인 관광객 증가 등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국가 항공 여건에 대응하기 위해 수립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