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예산·대기업스폰서 난국
1년 3개월 앞으로 다가온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최순실 파문’에 휘청거리고 있다.
평창올림픽 이권을 노린 ‘최순실 일가’의 걸림돌이 됐던 조직위원장은 억지로 물러났고,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에 대기업들이 울며 겨자 먹기로 거액을 내는 통에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의 마케팅 활동은 사실상 ‘올스톱’ 상태에 빠졌다.
여기에 평창올림픽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올림픽 담당 차관과 국장이 모두 교체되며 평창올림픽 지원에도 난항을 겪는 등 대회 준비에 ‘총체적 난국’이 이어지고 있다.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가 가장 걱정하는 부분은 ‘돈줄 가뭄’이다.
조직위는 지난 8월부터 문체부와 제4차 재정계획의 심의를 논의하고 있다. 제4차 재정계획에 따르면 계획상 지출은 2조 8천억원, 수입은 2조4천억원으로 4천억원 가량 부족하다. 조직위는 부족한 부분을 스폰서 확보, 입장권과 기념주화 판매 수익증대 등으로 메꾼다는 계획을 세웠다.
조직위의 예산 마련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된 것은 ‘최순실 파문’의 시발점이었던미르 및 K스포츠재단이다.
대통령을 등에 업은 ‘최순실 일가’가 국내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774억원을 강제모금하면서 조직위의 스폰서 확보 노력은 ‘직격탄’을 맞았다미르 및 K스포츠재단 설립뿐만 아니라 청년희망펀드 모금까지 준조세 성격의 모금 활동이 계속 이어지자 대기업들은 평창올림픽에 눈을 돌릴 틈이 없었다.
조직위는 스폰서 계약 목표액은 9천400억원으로 올해 연말까지 90% 달성이 목표다.
그나마 지난 18일 GS그룹이 스폰서로 참여하며 한숨을 돌렸지만,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
여기에 주무부처인 문체부는 예산 재검토를 통해 ‘최순실 예산’이라고 여겨지는892억원을 자진 삭감하며 올림픽 지원에 쓰일 예산까지 깎여나갈 판이다.
또 강원도 역시 평창올림픽 관련 예산을 기획재정부에 요청했지만 ‘최순실 파문’ 때문에 삭감 압박을 받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강원도에서 요청한 올림픽 관련 예산이 일회성에 예산 규모가 지나치게 높게 잡혔다며 부정적인 시선을 보내는 형편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