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여야정 협의체 참석 대상은 논의 후 결정하기로 했다. 협의체 운영과 관련된 실무협의는 여야3당 정책위의장과 유일호 경제부총리, 이준식 사회부총리가 맡는다.
여야정 협의체 구성원과 관련해서 민경욱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당 대표가 아닌 원내대표가 주역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민주당에서 추미애 대표가 ‘당 대표 참여’의견을 제시해 누가 참여할지 추후 협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여야 3당 원내대표는 오는 20일과 21일 국회 대정부질문을 실시하기로 하는 등 임시국회 일정도 합의했다.
3당 원내대변인은 “20일은 경제, 21일은 비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을 하기로 하고 황교안 권한대행을 참석시키기로 했다”며 “이어 별도 법안 처리 등을 위해 본회의를 29일 오후 2시에 열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에 활동해 온 7개 국회 특위 활동 기한을 6개월 연장하고, 개헌특위를 신설해 위원장은 새누리당이 맡기로 했다“며 ”특위 활동 기간 연장과 개헌특위 신설은 29일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여·야·정 협의체 구성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로 황교안 국무총리 권한대행 체제가 출범한 상황에서 국회가 국정운영 참여비중을 높이겠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야당 입장에서는 과반수 의석을 기반으로 국정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미로도 풀이된다.
그러나 여야정 협의체 앞길은 순탄치 않은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야당의 발표는 하루를 넘기기 어려운 내용이므로 여야정 협의체를 어떻게 한다고 해도 신뢰하지 않고 기대도 하지 않는다”며 “곧바로 쓰레기통으로 갈 이야기”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