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기준 186만4791명 / 1년새 4920명 줄어
전북지역의 주민등록인구가 1년 사이 5000명 가까이 감소하면서 5년째 날개 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전북지역 65세 이상 고령층(18.3%)이 15~29세 청년층(18.2%)을 처음으로 추월하는 현상까지 발생했다.
전북도는 목표 인구를 188만명으로 설정했지만, 현 추세라면 목표 인구는커녕 통계상 최저치인 185만명 선까지 다시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따라서 저출산 극복과 청년층 일자리 확대, 농촌 인구감소(과소화) 마을 해소 등 인구 문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8일 행정자치부와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 주민등록인구는 지난해 기준 186만4791명으로 2015년 186만9711명에 비해 4920명 줄어들었다. 이 같은 인구 감소는 서울(9만1565명)과 부산(1만5248명명), 전남(5082명명)에 이어 전국 시·도 중 4번째로 많은 것이다. 이는 전북 주민등록인구가 가장 적었던 2009년 185만4508명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기도 하다. 최근 5년간 전북 주민등록인구는 2012년 690명, 2013년 376명, 2014년 1405명, 2015년 1849명이 감소했다. 전북 주민등록인구는 1966년 통계상 최고치인 252만3708명을 기록한 뒤 지속적으로 감소해 1999년 199만9255명으로 200만명 선이 처음으로 붕괴됐다. 이후 2005년에는 190만명 선도 무너졌다.
전북지역 65세 이상 고령층이 청년층 인구를 처음으로 역전한 것은 인구 감소 사태의 심각성을 더하는 대목이다.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은 34만1023명으로 18.3%, 15∼29세 이상은 33만9189명으로 18.2%를 차지한다.
20년 전인 1996년 전북의 65세 이상은 16만4273명(전체 인구의 8.2%), 15~29세는 57만6145명(28.7%)으로 20%가량 격차가 났다. 2006년에도 65세 이상 고령층은 25만2029명(13.5%), 15~29세 청년층은 38만4710명(20.6%)으로 7%가량 격차를 보였지만 불과 10년 만에 인구 구조가 뒤바뀐 셈이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인구 회복을 위해서는 지방정부 인구 정책과 관련한 중앙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올해 상반기까지 가칭 ‘전북 과소화 마을 대응 조례’를 제정하고, 농촌 과소화 정책지도를 제작해 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